느낌의 발견 - 의식을 만들어 내는 몸과 정서 Philos 시리즈 18
안토니오 다마지오 지음, 고현석 옮김, 박한선 감수 / arte(아르테)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느낌의 발견>
The feeling of what happens
의식을 만들어 내는 몸과 정서
안토니오 다마지오 지음, 고현석 옮김
박한선 감수•해제

📖 (P.37)
가장 놀라운 사실은 의식과 정서가 분리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의식이 손상되면 정서도 손상되는 것이 사실이다. 실제로 정서와 의식의 연결 관계, 정서와 의식 모두와 몸의 연결 관계는 이 책의 중심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가장 탁월한 신경과학자 중 한 명, 미국 과학정보연수소가 발표한 ‘가장 많이 인용된 연구자’ 안토니오 다마지오의 ‘정서-느낌’의 3부작 중 <느낌의 발견>을 만나 보자.

신경과학…?
신경과학(神經科學, neurology)은 신경계의 발생, 해부학(解剖學, anatomy), 생리학(生理學, physiology) 등의 기초 의학적인 부분과 함께, 신경계에서 발생하는 각종 질환에 대해 연구하고, 실제로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게 치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유쾌하진 않다.
진지한 마음으로 읽어 보자.
의식과 자아에 관한 신경과학자의 견해.

📖 (P.57)
의식은 뇌가 능력을 얻을 때 시작된다. 그 능력은 말을 하 지 않고 이야기를 하는 간단한 능력이며, 이야기는 유기체 안 에 시시각각 흘러가는 삶이 있고 몸의 울타리 안에서 살아 있 는 유기체의 상태는 주변 환경의 대상이나 사건과의 조우나 사고에 의해, 그리고 생명 과정의 내적인 조정에 의해 끊임 없이 변화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의식은 이 원시적인 이야기, 즉 대상이 인과적으로 몸 상태를 변화시키는 이야기가 몸 신호라는 보편적이고 비언어적인 어휘를 사용해 말해질 때 발생한다.

📖 (P.57~58)
확실한 자아는 느낌을 느끼는 것으로 발생한다. 요청 되지 않았는데도 이 이야기가 처음 자발적으로 말해졌을 때, 그리고 그 이야기가 그 뒤로도 계속 반복해서 말해질 때, 유기체가 살아내고 있는 것에 대한 지식이 묻지 않은 질문의 답으로 자동적으로 떠오른다. 그 순간부터 우리는 알기 시작한 것이다.

내가 ‘나’로서 사고하고 존재하기 위해 꼭 필요한 의식. 인간만이 가진 것은 아니다.

📖(P.195~196)
아메바처럼 세포 하나로 이루어진 간단한 유기체는 단지 살아 있는 것이 아니다. 살려고 애를 쓰고 있는 것이다. 뇌도 마음도 있는 아메바는 우리가 자신의 의도에 대해 아는 것처럼 제 유기체 의 의도를 알지 못한다. 그럼에도 의도의 형태는 존재한다. 이 형태는 이 작은 생명체가 외부의 환경에 대항해 내부 환경의 화학적 성분의 균형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표현된다.

의식은 살아있는 유기체의 중요한 특성으로 유기체의 생명 유지 장치들보다 늦게 생겼을 테지만 생명을 가장 아름답게 만들어 주는 것으로 유기체 대부분은 어떤 방식으로든 이 욕구를 표현한다. 인간은 의식 덕분에 이 욕구를 명확하게 알아낼 뿐.

비전문가라면 책을 보자마자 허걱 할 수도 있겠지만 마음 진정하고 찬찬히 읽다 보면 눈길을 끄는 내용이 제법 많다는.


* 인스타그램 21세기북스(@jiinpill21)에서 도서 제공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