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발, 자신을 비워 세상을 담는다
타니 아키라, 신한균 지음 / 아우라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책 <사발>은 재미가 없다. 대신 교양이 있다. 한국과 일본의 사발 전문가가 책을 엮었다. 한국과 일본 사발의 특징을 건조하게 설명한다. 사발 입문서에 가깝다. 소설처럼 재미는 없지만 사발에 대해 알아야할 최소한의 것이 담겨 있다.
예를 들어 사발에서 굽이 중요하다는 사실이다. 사발을 받치고 있는 부분인 굽은 높은 것도 있고 낮은 것도 있고 문양도 제각각이다. 이는 사발이 어느 가마터에서 만들어졌는지에 따라 다르고 시기에 따라 다르다.
특히 일본이 소장하고 있는 조선 사발 중에 ‘와리코다이 다완’이라고 있다. 이 사발의 굽은 십자 모양으로 깎여 있다. 일반 사발의 굽은 사말 입처럼 둥글다. 물론 사발 내외부의 모양, 빛깔, 크기도 중요하다.
사발에도 명품이 있다고 한다. 사발이라면 밥사발 정도 생각하지만 그 용도가 다양하다. 찻사발, 대접, 밥사발, 보시기 등이 있다. 이 책에서는 차를 마실 수 있는 차사발(다완)에 대해 주로 이야기하고 있다. 명품 사발은 차를 시기에 적합한 모양, 잡았을 때 손으로 꼭 싸주리 수 있는 크기와 무게, 차의 녹색과 적절한 대비를 이룰 수 있는 빛깔 등이 명차가 갖추어야할 조건이다.
1500년대 만들어진 키자에몽 이도라는 사발은 겉보기에는 볼품없다. 그런데 이 사발은 인간이 소유하기에는 위대한 명품, 즉 ‘신의 그릇’이라는 별칭까지 붙었다. 이 사발을 소유하는 사람은 대대로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임진왜란은 ‘다완전쟁’ 또는 ‘도자기전쟁’이라고 불린다. 임진왜란 7년 동안 일본은 조선에서 눈에 불을 켜고 사발을 찾았다고 한다. 일본은 조선의 사발을 뛰어넘는 사발을 만들지 못했다. 임진왜란 때 일본은 조선 사발을 휩쓸어갔다. 게다가 사발을 만드는 기술자를 일본으로 납치해서 사발을 만들게 했다. 그만큼 조선의 사발은 서양은 물론 같은 아시아 국가인 일본도 탐냈다.
이 책은 얇다. 모두 200페이지도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책을 읽으면 사발 또는 도자기에 대해 문외한이라는 소리를 듣지 않는다. 이 책에 구성은 단순하다. 사발 이름과 사진 그리고 설명이 달려 있다. 책을 읽고 나면 마치 박물관에서 명품 사발 수십 점을 보고 나온 느낌이 든다. 그것도 상세한 설명까지 말이다.
양국의 저자, 타니 아키라와 신한균은 사발에 대해 전문가들이다. 그들이 사발에 대해 공유하거나 기록해둘 것을 책으로 남긴 것 같다. 어떻게 보면 전문 분야이겠지만 설명은 쉽다. 누가 읽어도 이해할 수준으로 글을 썼다. 사발에 대해 전혀 지식이 없어도 읽을 수 있다. 그럼에도, 글을 재미있게 끌고나가지 못한 점은 아쉽다. 그 사발에 얽힌 이야기를 풍부하게 했으면 좋았겠다는 생각이다.
이 책을 읽을 때 주의할 점이 있다. 급하게 읽으면 맛이 없다. 토요일 오후 창가에서 녹차 한 잔 놓고 천천히 읽으면 제맛이다. 그러면 이 책이 그렇게 지루하지만은 않다. 오히려 사발의 의미를 음미하게 된다. 이 책의 부제는 ‘자신을 비워 세상을 담는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