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교과서 작품 읽기 중1 소설 (최신판) 국어 교과서 작품 읽기 시리즈
류대성 외 엮음 / 창비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어느새 아이가 중학생이 되었다. 워킹맘이라 아이가 자라는 모습을 곁에서 내내 지켜볼 수 없었던 아쉬움이 크기에 퇴근 후라도 신경써주고 싶었는데 쉽지 않다. 어려서는 내 몸 피곤하다고 늘 내일로 미루고, 이제는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껴서 아이에게 다가서려고 하니 아이가 싫단다. 이제 자기 일은 스스로 알아서 잘 할 수 있는데, 엄마가 간섭하는 게 영 마뜩잖은 것이다. 어려서 다리를 붙잡고 질기게도 늘어지던 아이처럼 이젠 나도 아이에게 말 한마디라도 더 붙여보려고 아이의 관심사에 대해 연구하고 조사하며 눈물 나는 정성을 기울인다.

책은 지금 내가 처한 상황에서 아이와 통하는 통로의 하나이다. 나도 아이도 책을 그다지 좋아하지는 않지만, 마음을 울리는 책이 있으면 서로 번갈아 읽으며 받은 감동에 대해 이야기한다. 요즘엔 옛날 생각이 나 ‘국어교과서 작품읽기’라는 책을 읽어보았다. 내가 학교 다니던 때에는 쉽게 책을 구할 수 있는 때가 아니어서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짧은 단편들을 참 많이도 읽었다. 읽을수록 재미와 감동을 주는 교과서 작품들은 책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주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중학교 1학년 교과서에 실린 작품 12편을 읽어보니 내가 중학교 다니던 시절에 교과서에 실렸던 소설들은 별로 없다. 그래도 주제별로 나뉘어 각각 실린 네 편씩의 소설들은 소설을 읽으면서 어떤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읽으며 생각을 확장해나가야 하는지 제시하고 있다.

‘심리와 갈등’편에서는 실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갈등에 대한 주제로 소설을 읽으면서 타인과의 관계와 이해, 소통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준다. ‘정서와 분위기’편에서는 사람이나 사물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 정서적 감동을 주제로 한다. 마지막으로 ‘역사적 상황’에서는 6.25전쟁을 배경으로 해 소설을 통해 지나간 시대를 바라보고, 인간의 행복이 얼마나 쉽게 무너지는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펼쳐질 세상에 대한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인간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각각의 소설들은 책 읽는 시간이 짧으면 5분, 길어야 20분여 분에 불과할 만큼 짧다. 그럼에도 한 편, 한 편 읽을 때마다 느껴지는 감동은 진하다. 한꺼번에 읽기보다 맛있는 음식을 천천히 음미하듯, 하루 한 편씩 읽으며 소설 깊숙이 들어가 보면 좋겠다. 그런데도 그 맛이 너무 좋아 한 번 잡으면 좀처럼 내려놓기 힘들다. 교과서에 실려 익숙한 작품을 엄마와 함께 읽고 이야기 나눈다면 더 특별한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 같아 마음이 설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