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에 쓴 글씨 - 남아프리카공화국 문학 다림세계문학 34
베키 압테커 지음, 강수정 옮김, 김은경 그림 / 다림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도둑놈 심보를 가진 이가 안방까지 들어와 이제 이곳은 내 것이니 나가라 한다. 얼떨결에 떠밀려 마당 밖으로 나오니 의사도 묻지 않고 배에 태워 어딘지도 알 수 없는 땅에 떨어트리고 숨만 쉬며 살라고 한다.

  검은 대륙 아프리카의 비극을 짤막하게 이야기하자면 아마도 이렇게 표현되지 않을까? 지하자원이 풍부해도 그곳에 사는 대다수의 사람들에게는 혜택이 돌아가지 않고 기아와 빈곤, 에이즈와 같은 병에 대책 없이 내팽개치다시피 버려진(?) 사람들의 몸과 마음은 누가 어떻게 위로할까? 신앙심이 깊은 이들도 이곳에 오면 ‘신이 왜 이 사람들을 만들고 돌보지 않는가?’ 하고 원망을 한다는 말이 지극히 공감되는 아프리카.

  쓰면 흔적 없이 사라지고 마는 물 위에 쓴 글씨처럼 덧없음이 그들이 안고 살아가야 할 몫인가? 그래서 제목이 ‘물에 쓴 글씨’인가?

  불행한 아이들 중에 특히 더 불행한 쪽에 속하는 노엘. 생활고로 인해 나이답지 않게 성숙한 노엘은 엄마 아빠가 돌아가셨고, 좋지 않은 일을 공공연히 하고 다니는 패거리에 휩쓸려서 무언가를 보여주려고 하는 형 루카스마저 엄마와 같은 병을 앓고 있다는 것을 알고는 형마저 죽을까봐 노심초사다.

  엄마가 살아계실 때 형의 행동에 상처받으시고 노엘만은 어떤 어려움이 있어도 정직하게 세상을 살라고 당부하셨기에 학교에서 배급되는 급식만으로 어떻게든 끼니를 해결하려하지만 쉽지 않다. 친구 시파만들라와 우연히 들린 도서관에서 만난 남자가 건네준 시집으로 허기를 잠재우고 노엘에게 사랑과 관심을 보여주는 선생님과 친구들로 인해 고단한 삶에서 한 가닥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작품을 접해보지 않았기에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한 막연한 선입견이 있어 쉽게 손이 가지 않았는데, 다 읽고 난 지금은 이 책을 읽지 못했다면 참 아쉬웠겠단 생각이 든다. 생일선물이라도 할라치면 뭐가 필요할까(사실 부족한 게 거의 없다.)를 고민하느라 머리에 쥐가 날 것 같은데, 그 사실을 우리 아이들이 너무도 당연하게 생각하고 감사하지 않는 태도에 엄마인 내가 먼저 반성한다. 우리 아이들이 이 책을 읽고 먹고 마시는 지극히 기본적인 것마저 누리고 살지 못하는 세상의 많은 아이들에게 눈을 돌리고 함께 하는 삶을 생각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받았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가져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