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득이
김려령 지음 / 창비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책을 손에 들고 나면(월간지나 단편을 제외) 늘 어느 정도 부담을 갖게 된다. 특히나 장편소설의 경우는 더하다. 편지 한 통을 쓰거나 하루를 마감하는 일기를 쓰는데도 많은 신경을 기울이게 되는 나로서는 장편소설을 세상에 내놓기까지 무수한 시간과 정성을 쏟았을 작가의 메시지를 하나라도 더 내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이 늘 자리 잡고 있어서이다. 그런데, 참 특이한 책을 만났다. 김려령 작가의 처녀작인 ‘완득이’가 그 주인공이다. 분명 장편소설인데 읽어내기가 쉽다. 그러면서도 가볍지 않다.

  엄마아빠한테 재롱부리고, 떼도 쓰며, 가끔은 금방 들통 날 거짓말로 거짓말도 하고, 먹고 싶은 음식과 가지고 싶은 장난감을 줄줄이 나열하는 것이 보통 아이들의 어린 시절이다. 하지만 완득이는 이런 어린 시절을 보내지 못한다. 국제사기결혼으로 아버지(비록 아버지는 거짓말을 한 것이 아니었지만, 엄마 입장에서는 사기 결혼이었다.)와 결혼한 베트남 여성이 어머니이고 그나마도 젖을 뗀 후에는 집을 나가서 얼굴도 모른다. 아버지는 캬바레에 손님을 끌고 오는 일을 하시는 난쟁이 춤꾼이다. 거기에 아버지만을 졸졸 따라다니다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은 친척이 되어버린 말더듬이 민구삼촌까지 있다.

  라면국물에 햇반을 말아먹는 데에 익숙해진 완득이에게 어머니의 존재를 가르쳐주신 분은 아이러니하게도 늘상 죽기만을 기도해 온 담임선생님 ‘똥주’다. 원하지도 않은 수급품을 타가게 하면서도 그 수급품의 일부를 갈취해가는 못된 똥주. 하지만 기억조차 없는 어머니를 만난 완득이는 차츰 어머니에게 마음을 열고, 춤꾼에서 전업을 하고 새로운 일에 어려움을 겪고 있던 아버지와 민구삼촌은 똥주의 도움으로 춤 교습소를 차리며 안정을 찾는다.

  완득이 역시 어린 시절 캬바레에서 만난 아저씨들한테서 배운 ‘주먹’을 스포츠에서 정당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면서 몇 번 패하지만 자신이 언젠가는 TKO승을 할 것이라 다짐하며 열심히 연습에 임한다.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국제결혼의 어두운 이면, 대학진학만을 목표로 공부하는 기계가 되어버린 학생들, 외국인 근로자들의 문제 등 우리사회에서 야기되는 문제들이 묘하게 어우러져서 마음을 울리는 ‘완득이’였다.

  내 학창시절을 돌아보니 ‘똥주’와 같은 선생님이 있었다. 입만 열었다 하면 거짓말만 한다고 해서 ‘홍뻥’이라 불렸던 선생님. 권투시합 중계가 있는 날이면 숙직실에서 맥주를 마시며 시합을 보다가 수업을 하러 오신 선생님을 무지 싫어했다. 하지만, 어쩌다 한 번, 거짓말이라 생각하는 이야기들 속에서 믿고 싶은 이야기, 공감 가는 이야기들이 있었기 때문에 졸업한지 20년이 다 되어가는 데도 가끔 ‘홍뻥’ 선생님이 생각난다.

  완득이를 보면서 느낀 점은 사람에겐 누구나 ‘완득이’와 같은 기질, ‘똥주’와 같은 기질이 있다는 것이다. 모든 것에 의로울 수 없지만, 마음 가는 한 곳에서 똥주와 같이 의로운 일을 해낼 수 있고, 완득이와 같이 힘들지만 포기하지 않는 열정을 가지고 산다. 바라기는 똥주처럼 주위를 소란하게 만들지 않고, 완득이처럼 그늘로 숨어들지 않으면서 존재감을 나타낼 수 있었으면 한다. 이런 의미에서 똥주가 완득이에게, 완득이가 똥주에게 좋은 영향(두 사람은 절대 그럴 리 없다고 잡아떼겠지만)을 주듯 나와 내 주변의 타인들이 그렇게 살기를 바란다. 오랜만에 즐거움을 느끼게 하는 좋은 책을 만나 기분이 정말 좋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