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을 한 입 베어 물었더니 문학동네 청소년 66
이꽃님 지음 / 문학동네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이꽃님 작가님의 소설답게 글이 술술 넘어간다. 강한 자극이나 휘몰아치는 서사는 아니다. 그럼에도 한 장 한 장 넘기며 읽는 이야기의 속도는 꽤 빠르게 느껴진다. 마치 졸졸졸 흐르는 시냇가에 올려둔 종이 배가 단숨에 내 시야에서 멀어져 사라지는 듯한 그런 속도. 책을 읽는 내내 한 여름 그늘 아래서 시원한 바람을 맞고 한가롭게 앉아있는 것처럼 기분 좋은 여유를 느꼈다.

◈ 책장이 넘어가는 속도는 빠르지만, 넘기려던 책장을 멈추게 하는 문장은 많았다.

“바람이 불었던 것 같다. 예전에는 나뭇잎이 초록색이라고만 생각했는데 그날은 아니었다. 어떤 잎은 아주 연한 연두색이었고 어떤 잎은 짙은 초록색이었다. 또 어떤 잎은 쨍한 초록색이었고 어떤 잎은 연둣빛이 사라져 가고 있었고 어떤 잎은 눈이 부시게 푸르렀다. 그 모든 잎들이 하나하나 생생하게 떠올랐다. 그때, 그 순간 유찬의 머리 위로 그토록 다양한 초록 잎들이 흔들리고 있었으니까.” (85쪽)

◈ 이 이야기는 슬프다. 끔찍한 일을 겪은 이들이 나온다. 어린 시절 큰 실수를 한 사람도 나온다. 내 행동이 의도하지 않은 잘못이 되어버린 사람도 나온다. 그런데 누구 하나 나쁜 사람이 없다. 주인공은 이런 게 짜증난다고 했다. 하늘을 올려다보고 욕을 뱉고 싶다고. 화가 나고, 슬프고, 억울한데, 그 감정을 뱉어낼 이유도, 뱉어낼 곳도 없다는 것이 무엇인지 보여준다. 생각해보면 사람 일이, 우리 삶이 이와 비슷하지 않은가.

◈ 나의 기준으로, 타인의 고통을 지레 짐작하고 평가하는 것이 얼마나 큰 폭력이 될 수 있는지 생각한다. 비단 강자가 약자에게가 아닌, 동등하거나 가깝다가 여겼던, 그래서 더욱 스스럼 없고 편한 관계에서도 이는 가능하다. 친구가 친구에게, 부모가 아이에게, 교사가 학생에게. 하고 싶은 말이 많지만 입을 꾹 다물어야 했던 유찬이와, 마음을 둘 곳 없어 이리 저리 흔들리던 지오가 서로를 만나 서로를 위로할 때, 우리는 진짜 위로를 배운다.

“놀라운 건 이런 거다. 내 온 마음을 다하는 순간부터 세상은 변하기 시작한다는 거. 그리고 나는 그걸 절대로 놓치지 않을 거다.” (171쪽)

◈ ‘먹구름 뒤에 밝고 빛나는 무지개가 떠 있다는 것을, 혼자인 줄 알았던 이들 곁에 너무도 따뜻한 이들이 언제나 함께 였음을 알게’ 되었음을 한다며 이 글을 썼다는 작가님의 이야기를 들으며 고개를 끄덕거렸다. 내 앞에 펼쳐질 세상이 잿빛일지, 찬란한 푸른 빛일지는 알 수가 없다. 어쨌든 우리는 한걸음 나아간다. 이 책을 읽고 나서 달라진 점이라면, 그저 이전보다 온 마음을 다해 세상을 마주하고 싶다는 것. 그러면 내 세상은 지금과 조금은 달라질 것 같다는 기대감이 든다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