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의 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7년의 밤] 정유정 작가님의 작품의 처음으로 접하게 된 책이다. 궁금했다. 책이 그래서 책을 살까 말까 하다가 빌려서 보았다. 도서관에서 빌려서 보는것은 오랜만이다. [종의기원]이 보고 싶었다. 하지만 예약이 걸려 있어서 언제 볼지 몰라 7년의 밤도 반납들어온것을 내가 가지고 왔다는 사실이다. 그렇게하여 보게 된 책 7년의 밤이다.


한소년이 언제나 친척집을 돌아다니다가 한순간에 그들에게 내팽겨쳐진다. 그러면서 그에게 남은것은 예전에 같이 살던 한 사람(승환)밖에는 없어 기대반으로 전화를 들었다. 그렇게 시작된다. 혼자가 아닌 떠돌이 생활이 그속에서 그는 정착을 할수 없게 된다. 누군가 그의 주위에 자신이 살인자의 아들이라는 과거가 들어났고 그들은 떠돌이가 되어서 이곳저곳을 돌아다닌다. 그러다가 그들을 찾지 않는곳으로 숨지만 다이빙 사고로 그들의 위치가 발각되고 만다. 그 후로 다시 오게되는 잡지책으로 인해 자신의 가족과 세령마을에서 있던 일이 점점 들어나면서 기억하고 싶지 않는 사건과 진실이 다시 깊은 물속에서 떠오르게 된다. 끝나지 않는 사건이 말이다. 이렇게 책은 시작된다. 세령마을에서 있었던 사건이 말이다.


이책을 보면서 인물들의 하나하나의 감정과 묘사 왜 그렇게 일이 벌어졌을까? 성격까지 들어나게 된다. 그들의 슬픈 현실을 보는듯하다. 그속에서 사람들은 그들만의 과거를 가지고 있을것만 같았다. 나만해도 소설책 몇권은 나오지 않을까 싶어지지만 말이다. 이책에서 조금은 아쉬웠던 것은 왠지 모르는 몽롱하게 만드는 과거의 사건과 미신같은 것들이 조금은 아쉽다는 생각이든다. 그래도 왠지 나도 이런책 한번 써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정도로 묘사가 잘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책 앞표지에 나와있는 세령마을의 지도를 보면서 왠지 어디선가 본것만 같다는 생각이든다. 내가 살고 있는 도시와 비슷하다는 생각을 해보기도 한다. 그리고 정신병에 대한 여러가지 각도로 보여준것도 괜찮았다고 생각된다. 과거의 아버지 최상사의 외팔이라는 설정과 자신의 말을 듣지 않는 팔 그속에 들어있는 아버지와 자신과의 진실들 아내 김은주의 과거의 모습 오영제가 걸어온 길까지 보면서 살아온 삶의 모습속에서 자신들의 삶에서 그들의 미래가 결정되어버린 것만 같았다. 성공했다면 달라졌겠지만 아버지는 미래의 자신의 거울이라는 말이 있지 않는가? 그랬다. 그리고 고양이를 보면서 3가지의 삶을 말할때 사냥, 쓰레기더미, 애교와 얻어먹는것까지 그속에서 나는 어떤 삶을 살아가고 있는지에 대한 생각도 다시한번 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엄마인 김은주의 모습이 누군가 닮아 있다는 느낌도 들었고 내가 최현수였다면 사건이 일어났던 그순간에 나는 어떻게 했을까라는 생각을 해보기도 한다. 도망을 갔을까? 뺑소니? 아니면 신고? 한순간이 자신을 망쳐버렸다는 사실 왠지 버터플라이가 생각난다. 그리고 마지막 페이지를 보는 순간 한숨이 나왔다. 오랜만에 빌려 읽어내려가던 책 그 밑에 이렇게 써져 있었다. '너무 실망이다. 이런것을 책이라고...' 나도 누군가에게 써놓은 글로 인해 나도 쓰고 싶었다. "나도 실망이다. 당신 때문에 마지막을 이렇게 실망으로 지내게 되어서" 라고 말하고 싶었다. 너무 짜증이 났다. 사람들이 책보는 매너가 없다. 그것도 도서관 책에다가 말이다. 한풀이를 하면서 이 책을 마치려고 한다. 하이튼 생각도 많이 하게 해서 나에게는 좋았던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