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데기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리데기] 황석영님의 책입니다. 황석영작가님 책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성함은 많이 들어보았지만 어떤책을 쓰실지 궁금했기에 읽어보게 되었습니다. 바리데기 왠지 모르는 친근감이 가기도 하고 어떤책일까 많이 궁금했습니다.


이책을 읽으면서 처음 북한이라는 느낌이 많이 들었습니다. 왜냐면 북한에서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바리라는 이름을 가진 소녀가 태어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바리는 7째로 여자만 줄줄이인 집에서 태어납니다. 그것을 볼때 우리나라의 문화라고 할수 있는 아들 아들 하는 남아선호사상을 볼수 있습니다.  바리가 7번째로 그집에 태어났을때 그의 어머니와 할머니가 심정과 그의 언니들의 생각을 어떠했을지 보여주는 모습을 보았을때 우리 외가집에 생각이 났습니다. 외가집도 이모들이 많고 막내삼촌이 있어서 왠지 그런 느낌과 오랜전 방영된 드라마 [아들과 딸]의 생각도 나고 후남이라는 이름과 정남이라는 이름이 생각납니다. 우리시대때 여자아이들이 가지고 있는 이름이었습니다. 왜 이름이 이렇게 지어졌는지 다들 아실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책으로 돌아가서 그렇게 태어나 북한생활의 일상이 보이고 청진과 무산이라는 지명도 나오는것과 북한 사투리를 책으로 읽어내려가면서 우연히 알게되 탈북한 친구가 생각나기도 합니다. 강세가 억세서 조금은 놀란적도 있던 아이였던 생각이나네요 다시 책으로 돌아가서 가족들의 모습에서 행복이라는 모습이 보였지만 그것도 잠시 그들의 외삼촌의 탈북으로 인해 그들에게 다가오는 불행은 가족들은 불행이 시작됩니다. 할머니와 바리 그리도 언니가 탈북을 하게되고 그속에서 어머니와 언니들은 다른곳으로 가게되며 가족들은 다시는 못만나게 되었습니다. 그속에서 아버지와의 재회를 하고 그들의 생활상을 보면서 죽음과 슬픔의 눈물을 보게 됩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 홀로 남게되는 바리 그속에서 중국이라는 곳에서 살아가기 위한 모습이 힘들지만 그래도 열심히 살아가는 모습이 좋았습니다. 하지만 또 다시 불행이 찾아오고 중국에서도 못버티고 밀항을 하게됩니다. 영국이라는 나라까지 말입니다. 그 처참했던 모습이 안타까움으로 돌아왔고 그속에서 살아가는 바리의 모습은 왠지 애뜻함이 서려있습니다. 그리고 새롭게 가족을 꾸려가고 그속에서의 또 아픔의 상처를 보았을때 왜 그렇게 내가 바리가 되었는것만 같아 마음이 아팠습니다. 무엇이 바리를 가족과 떨어지게 하고 아프게 하였을까요? 이것을 보면서 동족상존의 6.25전쟁과 이산가족이 생각납니다. 다시 만날수 없을것 같은 가족들을 다시 만날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하지만 정치적인 외교적인것으로 그들의 만남을 못만나게 하는것은 비극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그리고 그속에서 전쟁이 만들어 놓은것이 이렇게 비극이 되지 않았나 싶어집니다. 그리고 책을 읽으면서 영적인 모습으로 표현하고 바리공주의 전설을 이야기하면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것은 조금은 읽으면서 어색하고 조금은 낮설어집니다. 그래서 조금은 집중이 안되었지만 그래도 괜찮았다고 생각되는 작품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