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중권의 서양미술사 : 고전예술 편 (반양장) - 미학의 눈으로 보는 고전예술의 세계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진중권 지음 / 휴머니스트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책갈피 공유


바로크 기준에서 아름다움이란, 결코 완벽하게 파악되는 균형적이고 정확한 어떤 것이 아니라 불명료하고 모호한 형태가 감상자에게 새로운 여운을 남기는 것이었다.

- 서양 미술사 1 (진중권) 본문 ' 명료성에서 불명료성으로' 中, p.242 -


*

 초기 미술사는 한 인간의 성장기와도 비슷한 것 같다.


 신께서 말씀하시기 전에, 지상에 가장 이상적인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인간이 제 발로 찾아 나서기 시작한 것이 그리스 시대였다. 중세에서 근대 사상으로 이전하는 과도기적 시기에는 미술 또한 다시 이 그리스의 이성주의와 감각주의를 부활 시켰는데, 이가 바로 르네상스다. 당시의 미술사는 인간이 스스로 진리에 도달하기 위해 이성을 펼칠 수 있다는 근대 철학, 과학과 맞물려 문명의 변화 행적을 같이 한다. 


르네상스의 변천, 그리고 미술사의 성장


 객관적인 아름다움을 찾기 위해 다빈치는 이상적인 신체비율을 경험적으로 종결한 <비트루비우스의 인간>이라는 걸작을 남겼다. 생각하니 고로 존재한다는 위대한 명제가 17세기에 기록 될 수 있도록 시대 과도기적인 자양분을 조성한 것도 르네상스다. 이제 르네상스는 어디로 변천하고, 미술사는 어느 방향으로 성장 하는가?


 슬프게도 인간은 그만큼 불행해졌다. 인간은 객관적으로 가장 아름답고, 가장 진실하고, 가장 본질적인 진리에 스스로 도달할 수 있다고 믿었지만, 검증하고 신뢰할 수 있는 명제는 겨우 '나 자신이 존재한다' 는 고독하고도 처연한 한 문장뿐이었다. 더 객관적이고 진실한 것을 스스로 구하겠다는 발걸음은 옳고 그른 것에 대해서 더 많은 논쟁과 대립을 불렀다. 


 긍정적이고 건강한 과정들은 때로는 지나쳐 반목과 전쟁으로 변질되기도 하였다. 결국 신의 보금자리를 잃은 개인은 더욱 고독해졌으며 성서의 가르침을 의심하기 시작한 인간은 스스로 진리를 추구하는 만큼, 찾아내야 할 것도, 의심해야할 것도, 더 많아졌다. 서양 사상사에도 드디어, '사춘기'가 찾아온 것이다.


사춘기의 인간들은 그럼 어디로 향했을까?


  제 발로 가장 아름답고 절대적인 것을 찾아 나섰던 인간들이, 단 하나의 완벽한 이상향을 거부하고 각기 사물과 개인의 모호한 아름다움을 주관적으로 추구하는 바로크 미술로 안착하는 스토리텔링은 그래서 매력적이다. 사춘기를 겪은 소년은 이제 제 방에서 무엇이 자신을 이야기 하는지 발견하였을까?


  인간의 만족도를 이루는 것 중에 주된 것으로 꼽을 수 있는 '미(美)'에 대한 세계관이 초월적 세계에 의존한 직관적인 담론을 벗어나기 시작한 것이 드디어 르네상스를 거친 바로크다. 단 하나의 이상적인 기대치를 향한 엄격한 잣대도 내려놓은 채, 작가의 주관적 표현을 중시하고 색채가 표현하는 정서에 주목하기 시작한 것이다. 인간은 신이 없어도, 절대적인 평가 잣대가 없어도 스스로 행복할 줄 아는 것을 '주관적인 아름다움의 존재론' 에서 획득 했다는 것이 큰 의미다.


  물론 바로크 이후로도 미술은 변한다. 


 물론 바로크 이후로도 미술은 변한다. 그러나 분명한 점은 미술사의 초기 변천사와 서양 사상사의 궤적은 독자들로 하여금 우리 자아가 구축하고 있는 '세계관의 美' 를 다시 한번 돌아보게 한다는 것이다. 바로크 시대 미술로의 서사는 개인의 자아 발달사의 방향성을 제시하기도 한하다. 우리는 선택과 가치 설정에 있어서 늘 절대적으로 옳은 것에 대한 목마름을 갖는다. 


 진리에 대한 수많은 견해 속에서 우물 안 경쟁을 한다. 그러나 자신의 세계가 가진 모호성과 주관적인 표현을 존중함으로써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을 때 개인은 새 길을 열고 역사를 쓴다. 바로크뿐만 아니다. '독립적인 표현'과 '창의적인 세계관'으로 '시대의 정신'을 공유하는 작품이 대중의 찬사를 받는 현대도 동일한 상황을 보여준다. 


 서양미술사와 그로 보는 사상사를 통해서 인간 발달사를 보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인류 역사의 발전사를 통해 개인의 자아 성장이 어떤 부침을 겪는지 유추해보는 것도 짐작키가 어렵지 않다. 문명사에 관한 공부는 역사에 대한 탐닉이 아니라, 인류에 대한 탐구가 된다. 그래서 서구 회화 변천사의 방향성을 통해서 동시대의 세계관의 변천사를 살펴보는 것은 흥미롭다. 또 어떤 새로운 사고관의 반영과 반추를 발굴했을 지, 다른 독자들의 발견이 궁금하다.



* 추천하기 전에


 책은 읽기 쉽게 구성되어있다. 친절한 작품 설명이 시대 사상의 변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 등장한다. 그러나 서양 미술사에 관한 개괄적인 배경 지식 없이 이 책을 접하는 것은 무리가 없을 지라도, 서양 근대 사상사에 대한 개괄적인 배경 지식 없이 이 책을 접하는 것은, 책에서 보다 얻을 수 있는 유익함을 조금 접고 시작하는 일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