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꺽정, 길 위에서 펼쳐지는 마이너리그의 향연 - 고미숙의 유쾌한 임꺽정 읽기
고미숙 지음 / 사계절 / 200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아까워라 임꺽정

책 표지를 열어 첫 장을 읽기 시작하자마자 벽초의 소설 <임꺽정>이 다시 읽고 싶어졌다. 얼른 책장으로 뛰어갔다. 아뿔싸, 10권짜리 <임꺽정>이 보이질 않는다. 털썩-좌절해 무릎 꿇고 말았다. 기증해버린 것이다! ㅜㅜ 작년 겨울 이사를 하면서 독하게 마음먹고 책 1백여 권을 마포에 있는 '민중의 집'에 기증했는데, 그 안에 <임꺽정>도 들어있던 것이다. 이런 젠장...통크게 기증해놓고 쪼잔하게 다시 찾아올 수도 없고...꺽정이처럼 꺼이꺼이 울고 싶었다. 다시 사야 하나 말아야 하나. 누가 또 기증해주면 좋으련만. 쩝.

 

고미숙표 글쓰기

[임꺽정, 길 위에서 펼쳐지는 마이너리그의 향연]은 고미숙만이 쓸 수 있는 책이다. 자신의 이름을 걸고 글을 써서 책을 펴내는 사람을 일반적으로 작가라 하고, 어떤 책을 써내느냐에 따라 평범한 작가, 개성있는 작가로 나눈다고 할 때 고미숙은 그야말로 개성있는 작가다. 그 누구도 쓸 수 없는, 그 누구도 쓰지 않는 글을 쓰는 작가. 그동안의 다양한 고전 읽기 작업을 통해 '고미숙표 책'의 영역을 확고히 했다. 책에서 밝힌대로 표창의 달인, 칼의 달인, 활의 달인인 꺽정이 패거리처럼 '고전을 엎어치고 메쳐서 책 하나 뚝딱 만들어내기'의 달인인 셈이다.

 

홍명희는 천잴세

애초 출판사에서 원했던 것이 [임꺽정, 길 위에서 펼쳐지는 마이너리그의 향연]을 통해 사람들이 소설 임꺽정을 읽도록 하는 것이었다면, 어느 정도는 성공했다고 생각한다. 나처럼 이미 임꺽정을 읽은 사람도, 책을 읽는 내내 임꺽정을 다시 읽고 싶어 몸이 들썩들썩했으니 말이다. 인용한 한 구절 한 구절마다 어찌나 '재미지던지', 새삼 한국문학사의 천재로 불린 벽초 홍명희가 어떤 사람이었는지 알겠다. 우리 입말이 고스란히 살아있는 문장, 펄펄 살아 뛰는 현재형의 문장, 당장이라도 그 안에서 꺽정이와 운총이가 뛰어나올 것같이 생생한 문장. 홍명희는 진정한 문장가요, 대가다.

 

과거현재 크로스

고미숙은 책에서 끊임없이 임꺽정의 시대와 현재를 비교한다. 주인공들의 태생, 가족관계, 일을 대하는 태도, 배움과 사귐에 임하는 자세, 공동체가 굴러가는 방식, 돈을 바라보는 시선, 세계관과 우주관까지 비교의 대상이 된다. '역사는 진보한다'는 누군가의 믿음을 비웃기라도 하듯, 꺽정이 시대에서 더 나아지지 않은(오히려 형편없이 뒤떨어진) 삶이고, 세상이다. 배움의 즐거움 따위 학벌주의에 잡아먹힌 지 오래고, 전국 팔도를 굴러도 굶지 않을만큼 탄탄하던 공동체정신은 '부부와 자식새끼만 잘 먹고 잘살려고 아등바등하는' 가혹한 자본주의 핵가족 경제로 탈바꿈했다. 

 

나쁜것만 남았어

우정, 의리, 몸으로 부딪치는 사랑 등 '사유와 행위에 손톱만큼도 간극 없던 아쌀한 시대정신' 또한 온갖 잔머리와 계산, 한치도 손해 보려 하지 않는 얍삽함(누구는 합리라 하고 실리라 하는)에 자리를 내주었다. 그야말로 오호, 통재라. 할밖에. 그러면 어떻게 살아야 할까? 어떻게 하면 우리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온갖 나쁜 것들로부터 조금이라도 떨어질 수 있을까? 이 나라를 떠나는 것? 돈을 벌지 않고 굶음으로써 자본에 대항하는 것? 어떻게 하면 꺽정이네 패거리처럼 즐겁고 호방하게,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한편 삶을 치열하게 살아갈 수 있을까?

 

현실을 어쩔까나

어떻게 하면 그들처럼 치열하게 사랑하고 미친 듯이 놀고 배우며 살 수 있을까? 그 해답을 얻을 수 있을까 하여 부푼 가슴을 안고 책을 읽어나갔는데, 쫌 이상하다. 좋게 말하면 열린 결말이고 못되게 말하면 똥 누고 밑 안 닦은 기분이랄까. 계몽하거나 가르치지 않고 있으니 말이다. 또 하나 갸웃거려지는 지점은, 88만 원 세대라는 말도 눈물 겨운 국민 절반이 비정규직인 시대에 '청석골 두령들처럼 정규직에 목매지 말고 즐겁고 자유롭게 살아라'라는 게 설마 고미숙이 얘기하고픈 결론일까 하는 것. 현실을 어쩌고? 비정규직 하고파서 하는 게 아니고, 80만 원 받고 싶어서 받는 게 아닌, 그마저도 언제 잘릴까 몰라 전전긍긍 애면글면하는 노동대중들의 이 끔찍한 현실은 어쩌고?

 

각자의 방식대로

도둑이긴 했으되 혁명이나 사회 개혁 따위에 관심 없던 꺽정이처럼 우리도 그냥 '뒤틀린 사회 구조'를 깨부수기 위한 그 어떤 작업도 하지 않은 채 그냥 살아야 하는 걸까? 그건 또 아니란다. 고미숙 일파는 자신들이 할 수 있는 방식대로 '즐겁고 유쾌하게 이 지리멸렬한 자본주의를 떠나 사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단다. 그리고 또 우리들에게, '니들 하고픈대로, 니들 생긴 모양대로, 스스로 공부하고 생각하고 깨달'으랍신다. 끊임없이 배우고 모색하고 고민하는 것, 그것이 처음이고 마지막이란다. 그렇게 하여 나를 알고 세계를 알면 길이 보일 거란다. 청석골의 호쾌한 자유분방함이 어떤 형식으로 가능할지 '연구공간 수유+너머' 식구들이 보여줄 세계가 궁금하고, 또한 책을 읽은 이들이 어떻게 '청석골 마인드'와 '접신'할지 몹시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