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오버 - 국가, 기업에 이어 AI는 우리를 어떻게 지배하는가
데이비드 런시먼 지음, 조용빈 옮김 / 와이즈베리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젠가부터 AI관련 서적이 참 많이 나오고 있고 AI관련하여 사람들이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나 또한 많은 AI서적을 접했는데 대부분이 AI시대에 살아남는 직업군이라던가 혹은 앞으로의 세계는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에 대한 주제로 내가 그 시대로 진입했을 때 어떻게 하면 살아남을 수 있나? 라는 주제들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이 책은 그런 대부분의 AI관련 서적들과는 다르게 '국가와 기업, 그리고 로봇의 유사성'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국가도 기업도 일종의 로봇이며 그렇기 때문에 우린 지난 300여년동안 로봇과 함께 살아오고 있고 이런 '인공대리인'이 작동하는 원리가 로봇이나 AI그것과 다를바가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책의 초반에는 국가와 기업이 어떻게 AI와 유사한지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일종의 로봇인 국가와 기업이 현대사회에서 어떻게 권력을 이양했으며 어떻게 우리 사회를 앞으로 재구성할 것인가에 대해 다방면으로 예측해보고 있다.

나는 국가가 어떻게 생기게 되었으며 그의 구성요소로서 국민은 어떤 관계에 놓여져있는지 또 국가와 기업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이야기하는 부분에서 참 많은 흥미를 느꼈으며 사람은 소멸해가지만 기업과 국가는 소멸하지 않을 수 있으며 국가는 다른 국가가 될 수 있고, 기업은 국가와 다르게 사람의 수명만큼 이어지지않고 계속될 수는 있지만 없어질 수 있다는 것이 국가와는 다름을 이야기하는 부분이 참 흥미로웠다.

그리고 집단의 책임과 개인의 책임의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부분에서도 개인의 책임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지만 무언가에 집단의 판단이 실패했을 때 개인에게 책임을 다 묻는다면? 이런 부분을 볼 때도 아 집단의 결정,선택에 대한 것이 왜 생겨나게 되었으며 , 개인에게 책임을 묻는 것 자체가 큰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위험할 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

우리는 초인적능력을 지닌 인공대리인에게 우리의 권력을 이양하면서 더 강해졌다. 질병을 퇴치하고 평화를 유지하면서 몇 세대 전까지 불가능했을 부를 축적하게 되었다. 하지만 순기능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 과정에 있어 이러한 편안함과 안락함을 위해 자연을 파괴하고 기업과 경쟁하고 다른 지역의 주민과 자원을 착취하였으며 이로 인해 인간의 상태와 생활양식도 변화하였다.

이것은 우리가 이미 경험한 것이며 이것이 첫번째 특이점이다. 이러한 시대에 AI가 세계에 진입하고 있고 이러한 인위적인 존재들과 인공대리인,우리가 결합한다면 어떤 결과를 가져오게 될까.

로봇이 우리를 위해 일하게 될까. 우리가 로봇을 위해 일하게 될까 , 우리가 통제하게 될까 통제 당하게 될까?

국가가 통제할 수 없는 방식으로 로봇과 결합한다면? 기계적으로 모든 것을 해결해나가려고 한다면 어떻게 될까?

이런 통제에 대한 시스템적으로 접근을 해나가다보면 이건 개인적으로 살아남는다는 문제보다 , 더 큰덩어리의 생활양식의 변화가 아주 크게 일어남을 의미한다.

나라에서 전쟁을 시작한다고 하면 국민들은 전쟁에 참여하게 되듯이. 내가 원하지 않아도 국가가 시작한다면 나는 전쟁 속에 있어야 하는 것이다.

어쩌면 나는 국가가 통제속에 있지 못하는 것이 오히려 내가 나중에 없어질 직업을 갖고 있는것보다 훨씬 무서운일이란 생각을 했고. 통제 당하는 나, 국가,기업이 아닌 통제하는 입장에 서야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