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래하는 뇌 - 인간이 음악과 함께 진화해온 방식
대니얼 J. 레비틴 지음, 김성훈 옮김 / 와이즈베리 / 2023년 1월
평점 :
"인간이 음악과 함께 진화해 온 방식"
대니얼래비틴을 나는 <정리하는 뇌>라는 책을 통해서 알게 되었었는데 정리라는 것을 잘 못하는 내가 어떻게 하면 정리를 잘 하는 인간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 라는 고민을 갖고 보았던 책으로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뇌의 속성을 잘 파악한다면 나 또한 정리를 잘하는 사람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까지 엿볼 수 있었던 책이었다.
아주 흥미롭게 읽어낸 책 <정리하는 뇌> 이후 <석세스에이징>을 거쳐 오늘의 <노래하는 뇌>에 이르기까지 나는 뇌 과학에 대해 딱히 관심을 가진 사람이 아니었지만 대니얼래비틴의 책이라면 먼저 손이 갈 정도로 저자의 필력,지식력(?)에 빠져들고 말았다.
이 책 또한 음악을 사랑하는 나와 대니얼래비틴이라는 저자가 이야기하는 뇌의 이야기가 결합되어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까 라는 흥미가 더욱 책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켰다.
나는 이 책을 펼쳐보기 전까지는 음악에 따른 뇌의 반응에 대해 이야기를 할거라 예측하였지만. 이 책은 음악이 인간을 지구상의 다른 종과 구분해주고, 인간이 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알려주며 음악과 뇌의 진화를 메인으로 하여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었다.
음악은 아주 먼 옛날부터 사랑을 받았고 작가는 6가지 테마를 정해서 우정,기쁨,위로,지식,종교,사랑과 관련된 노래들을 소개하고 또 이는 인간의 진화에 어떻게 도움이 되었는지에 대해 이야기해주고 있다
대니얼래비틴은 음악은 인류의 정체성을 빛어낸 핵심이며 이는 언어, 대규모 협동 등 복잡한 행동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을 닦아주며 음악은 인간의 진화의 미스터리를 풀 수 있는 열쇠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왜 노래로 알파벳과 구구단을 외면 지식습득에 유리한지? 우울할 때는 왜 슬픈 노래를 들어야하는지? 등 뇌과학에 입각해 저자는 음악과 뇌의 관계 그리고 인간의 진화에 대해 사례를 들며 이야기해주고 있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 열거되어있는 노래들이 아무래도 팝(?)에 치중되어 있다는 점. 우리나라 작가가 아니다보니 우리나라의 노래로 설명이 되었다면 나는 더 접근이 쉬웠을거란 생각이 드는데 그 점이 조금 아쉽다면 아쉬웠고
읽어나가는 것이 쉽진 않지만 읽고 나면 어떻게 음악이라는 것을 인간의 진화와 이야기를 할 수 있었을까 하는 대니얼래비틴의 괴짜같은 (?) 모습과 또 분석력 그만의 음악에 대한 사랑과 지식을 엿볼 수 있는 것 같다.
한 번 보기에는 좀 아쉬운 책이고, 두 세번 음악과 같이 즐기면서 본다면 더욱 잘 즐길 수 있는 책이라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