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가속 파괴적 승자들
김광석.설지훈 지음 / 와이즈베리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규모의 경제'라는 말도 어느새 먼 과거의 이야기가 되어버렸다. 요즘은 '속도의 경제'라고 부르며, 정말 정신없이 미래로 내달리고 있는 느낌이 든다.

 

이런 속도의 경제라는 말을 더 실감하게 된 것은 코로나이후부터 라고 나는 생각한다. 물론 기업들은 전부터 천천히 디지털화를 준비하고 , 과거를 파괴하고 새로운 질서를 정립하고 있었겠지만. 소비자의 입장에서 본다면, 산업 전반의 파괴와 재정립은 코로나이후 가속되었다는 느낌을 받는다.


나는 이런 개인적인 느낌을 , 책을 읽으면서 더욱 확실하게 느낄 수 있었는데. 내가 자동차 회사라고 생각했던 회사는 자동차가 아닌, 소프트웨어 회사였구나


스타벅스는 과연, 커피회사일까? 나이키는 스포츠용품을 파는 회사일까? 라는 나의 생각을 이 책은 산산히 부숴버렸다. 이미 나는 책을 읽기 시작한 때부터 철저히 파괴당하고 있었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던 것이다.


나는 아직 과거의 어느 때 살고 있고, 초가속화라는 말에 걸맞게 빅테크 기업들은 , 또 전통적인 기업들조차 살아남기 위해 혹은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어가기 위해 정말 말도 안되는 속도로 뻗어가고 있었던 것이다.


나는 아무런 거리낌도 없이 그들이 만들어가는 질서에 맞춰서 살아만 가고 있었을 뿐 , 선도하는 사람도 그 속도에 편승해서 사는 사람도 아니었던 것이다.


책에서 거론되는 거대한 6대 파괴적인 물결(비대면화,탈경계화,초맞춤화,서비스화,실시간화,초실감화)이 어느새 성큼 다가와 나의 일상에 자리잡았다는 것을 느끼며 나는 이 책에서 가장 관심있었던 부분인 , 개인적으로 우리는 어떤 것을 준비해야하는가에 더 초점을 맞춰 읽어가고 또 고민해보았다.


로봇이 우리의 자리를 차지하고 또 현재 일하고 있는 분야는 머지않아 사라질 수도 있다. 그런 생각과 믿음은 일치감치 버리는 것이 좋으며, 탈경계화의 시대인만큼 개인들도 일하는 분야의 경계가 사라진다는 것을 명심해야할 것이며,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은 과거와 같지 않기 때문에 이전에 배운 내용에 멈춰있다면 우리는 기술격차의 피해자가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업스킬링(upskilling)과 리스킬링(reskilling)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단순히 열심히 하는 것만으로는 안되고 빠르게, 정확한 방향성을 가지고 움직여야 한다. 미래에 필요한 기술과 역량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융합적인 사고방식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나는 전통적인 일의 방식인 부동산중개인에 요즘 도전하고 있는데 , 다방,직방 등 다양한 플랫폼이 나오고 있고, 또 중개인들끼리 이야기하는 플랫폼인 **톡 같은 것도 나오는 걸로 알고 있다. 앞으로 이 시장도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예측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고, 내가 선도할 수 있는 부분은 어떤 것인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겠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초가속의 시대. 파괴적 승자가 될지 , 파괴될 것인지는 지금 움직이느냐 안움직이느냐, 또 방향도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항상 트렌드를 잊지 말고, 발빠르게 따라가는 사람이 , 기존의 질서를 파괴하고 다시 재정립하는 사람이 되야겠다는 생각을 오늘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