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획자가 일 잘하는 법 - 선배도, 상사도, 회사도 알려주지 않은
피터(Peter) 지음 / 와이즈베리 / 2021년 11월
평점 :
음 이 책의 제목을 읽으면 , 기획자=창의력을 떠올리며 어떠한 일의 기획을 잘 하는 사람을 떠올리게 되고,
이 책을 덮는 순간, '일 잘하는 사람'을 떠올리게 된다.
이 책은 제목은 기획자가 일을 잘하는 법이라고 하지만, 내용은 직장인이 어떻게 하면 일을 잘할 수 있는가를 총망라했다는 느낌을 나는 받았다.
나는 회사를 다닐 때 상품기획부서 일을 했다. 쇼핑몰에서 대게는 머천다이저라 불리지만 실상은 상품을 기획하고 그 상품을 생산하고 판매하고 결과적으로 매출을 올리는 일을 하는 사람이다. 돈을 버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사람들은 '기획'이라 함은 아이디어를 떠올려 기획서만 넘기면 된다고 생각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 기획이란 전체적은 프로세스를 아우르는 일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우선 이 도서는 쉽게 읽혀지는 책은 아니다. 나는 처음부터 중간부분까지 조금은 어렵다 라는 느낌을 받으면서 읽었다. 쉽게 읽혀지기까지는 용어에 익숙해짐이 필요하다. (이 분야의 일을 했던 사람은 처음부터 쉽게 다가갈 수 있다.)
근데 신기하게도 내가 조금은 책이 어렵게 느껴지는 군 하고 생각할 때 저자가 내 마음을 읽었는지 어렵게 느껴지겠지만 읽다보면 그렇지 않을꺼라는 말을 책에 남긴다. (나의 속마음은 어떻게 알았을까)
저자는 기획자로서 창의성의 한계를 돌파하는 4가지 전략기획 프레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데 , 회사의 판을 읽는 눈, 논리적사고, 시장을 분석하는 기술, 숫자로 말하는 프로스세를 중점적으로 이야기하면서 빠르게 일을 추진하는 방법이나 보고서 작성법 등 실무에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유용한 기술도 친절하게 설명해주고 있다.
그 중에서도 나는 논리적사고 부분에서 '무'에서 '유'를 만드는 것은 과거의 '유'를 보는 것에서 출발한다는 문장이 마음에 쏙 들었는데, 내가 일을 하면서 가장 많이 느꼈던 부분이기 때문이다.
일을 할 때도 그렇지만, 세상을 살아가면서 많이 느끼는 일이 완전 창조적인 것은 없다는 것이다. 어떤 사람의 창조물은 이전의 사람이 만들어놓은 것의 변형이나, 살을 붙여 만든 것이라는 것이다.
나 같은 경우도 과거에 상품을 기획시, 상세페이지를 제작시, 썸네일을 제작할 때 등 과거의 데이터를 참고하여 카피하고, 그 카피에 변형을 가하고,살을 덧붙여 만들어 좋은 상품, 이미지 등을 탄생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거기에 내 상품에 대한 '포인트'만 살려주면 그 기획은 너무 말끔하게 고객을 잡아당기는 기획이 되곤 했다. 근데 이런 기획은 상품탄생에서 끝나는것이 아니라 어떤 계절에 누구에게 , 얼마에 , 어떤 프로모션을 등등 고객에게 선택이 되기까지 더 많은 과정이 남아있곤 했다. 그래서 저자가 말하는 4가지 전략을 모두 기획자는 해야만 한다.
일을 잘하는 일잘러가 되려면 사실 정말 그 회사의 책임자처럼 , 즉 사장처럼 일을 해야만 일잘러가 더 빠르게 될 수 있다. 일잘하는 사람의 역량을 살펴보면 책임감이 없이는 일잘러가 되기 힘들겠따 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일을 잘하기 위해서는 타고난 재능이 아닌, 저자가 말한 것처럼 모든 기술에는 자습서가 필요하고 훈련이 필요하고 구체적인 행동에 이르기까지 이론 이상의 고민과 창의력이 필요합니다. 그런 행동에 이르기까지의 일하는 사람은 어떤 마음가짐이 필요할까?
이 책을 읽고 일잘러가 되려면 저는 우선 마인드도 한 번 점검하고 가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을 읽는다고 우린 일잘러가 되지 않고 이 책의 내용을 행동으로 이르기까지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아야할 것이다.
저는 기획자 분들에게는 이 책이 기획자가 일을 잘하는 방법에 있어서 정말 추천해드리고 싶은 책이라고 생각하고, 회사에서 일을 잘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면 어떤 분야에 있는 사람이라도 읽고 나면 일머리가 어떤 것인지에 대해 알게 해주는 책이라고 이야기하고 싶다.
오랜만에 참 유용한 책을 접하게 되어 기분이 너무나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