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드 오브 타임 - 브라이언 그린이 말하는 세상의 시작과 진화, 그리고 끝
브라이언 그린 지음, 박병철 옮김 / 와이즈베리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브라이언 그린의 전작을 읽어본 적은 없어서 이전의 책과 비교는 나에게 불가하다. 하지만 처음 브라이언 그린의 책을 접한 나는 그의 해박한 지식과 우주의 속성을, 인류의 탄생과 죽음의 속성과 연결지어 과학적 탐구방법으로 풀어낸 그의 재치있는 글솜씨에 많은 감탄을 했다.


과학서적이라고 하면 사람들은 어려워서 접근하기가 쉽지 않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요즘은 많은 과학서적들이 일상에서 흔히 일어나는 사실과 결부시켜 과학적 이론을 설명하고 또 이 책은 인류의 시작과 끝, 그리고 인간의 근원(생명의 근원,의식의 근원, 자유의지의 근원, 언어의 근원, 종교의 근원 등)의 모든 것을 포함하여 이야기하고 있어 과학이란 우리의 삶과 가까이 있다는 사실과 함께 과학적 이해에서 오는 만족감 , 예시를 들어 풀어가는 흥미로운 스토리의 즐거움까지 동시에 선사한다.


엔드오브타임에서 나는 엔트로피에 대한 이야기와 빅뱅에 대한 이야기가 가장 흥미로웠는데, 과학책에서나 보던 엔트로피와 열역학법칙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빅뱅은 어떻게 일어났는지에 대해 과학적 접근방법과 그리고 저자의 감정과 개인적인 시각까지 볼 수 있어서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저-엔트로피의 상태는 질서가 잡힌 상태, 고-엔트로피의 상태는 무질서한 상태라는 것, 그리고 그런 이론이 토대가 되어 "미래에 발휘되는 에너지는 과거에 발휘되었던 에너지보다 품질이 떨어진다" 며, "미래는 과거보다 엔트로피가 높다"라는 말을 한 볼츠만의 통계이론의 핵심까지 들여다볼 수 있었다. 그리고 정말 미래에는 과거보다 지속적으로 무질서해지고 품질이 떨어진 상태가 되는걸까?라는 질문을 나에게 하게 되었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그 다음 장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가차없이 증가하는 엔트로피, 그리고 대책없이 쌓여가는 폐기물 속에 살아간다면 인류는 살아남을 수 없을텐데 이런 엔트로피를 자연이 흡수해준다면 인류는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것. 하지만 내가 생각하는 지구는 점점 고- 엔트로피로 가고 있고 품질이 낮아지는데 이유가 자연이 인간이 생산해내는 폐기물을 잘 흡수해주지 못하는 상태가 되어가기 때문이라는 생각을 했다.


우주의 질서는 인류의 삶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 인간의 신체기능이 잘 작동하려면 몸속의 모든 분자가 정교한 생명활동을 수행할 수 있어야하며, 또 다른 생명체를 흡수하면서 고품질 에너지를 공급받아야 하고, 고도의 정밀한 도구 및 생존시설이 갖춰진 서식지가 있어야 인간은 잘 살아갈 수 있다. 이에 위의 이야기를 또 들자면 우리의 서식지인 지구가 좋은 서식지가 되어주려면 고 엔트로피를 생산해내는 것을 줄여야하며 자연을 보존하여 엔트로피를 잘 흡수할 수 있게끔 보존해야 우리의 서식지가 , 그리고 섭취할 수 있는 다양한 생명체가 살아갈 수 있는 것인 아닌가 라고 생각도 해본다.


그럼 과거에는 어떻게 저-엔트로피의 품질이 좋은 상태가 유지되었을 수 있었던 것일까. 약 140억년전의 초고온 초고밀도의 작은 덩어리는 어떻게 고품질의 덩어리였을 수 있을까? 과거는 왜? 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 이론적으로 정확한 답을 듣고 싶었지만 저자도 이 내용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는 이야기를 보게 되었고, 거대한 폭발이 일어나고 빠르게 팽창하게 된 '빅뱅'은 어떻게 일어났는가에 대해서도 , 수 많은 학설이 있지만 현재로는 "초기 우주는 매우 질서 정연한 저 엔트로피 상태로 어떻게든 전환되어 빅뱅이 일어났다"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고 한다.


비록 왜 과거는 고품질의 좋은 상태의 우주가 유지되어질 수 있었는지 이유를 알 수 는 없었지만 품질 좋은 초고밀도 작은 덩어리에 빅뱅이 일어났고 뜨거운 공간이 식으면서 입자속도가 느려져 이들이 하나로 합쳐져 별과 행성 등 다양한 천체를 형성 하였고 태양계의 지구라는 행성에 생명체가 등장하고 근 40억년만에 인간으로 진화되었다는 이야기까지 아주 흥미로운 이야기를 읽을 수 있었다.


최근 우주 탐사와 우주관련 산업에 대한 이야기가 과거에 비해 더 많아지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우주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또 다른 서식지(?)가 있지 않을까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을거란 생각을 한다. 그리고 동시에 지구를 살리기 위한 활동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 품질이 낮은 서식지로 바뀌기 전에 말이다.


시간의 시작과 끝을 엔트로피 증가의 중심으로 설명하고 두 극단 사이의 모든 현상, 즉 인간의 근원에 대한 집요한 호기심을 표현한 책, 그리고 인간으로서의 공감을 통해 어려운 이론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던 책 <엔드오브타임> 이 책은 우주와 과학적 접근 방법으로 어떻게 이 세상을 형성해 가는가에 대해 아주 명쾌하게 설명하는 책이 아닌가 싶다.


마지막으로 저자가 이 책을 쓰게 된 중심 생각으로 마무리를 지어볼까 한다.


"우리는 시간이 처음 흐르기 시작했던 시점부터 종말에 이르기까지 우주가 어떤 길을 걸어왔고, 또 어떤 길을 가게될지 알아볼 것이다"

"우리는 시간이 처음 흐르기 시작했던 시점부터 종말에 이르기까지 우주가 어떤 길을 걸어왔고, 또 어떤 길을 가게될지 알아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