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한 정상가족 - 자율적 개인과 열린 공동체를 그리며
김희경 지음 / 동아시아 / 201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상한 정상 가족>

이 제목을 보고 있자면 정상이라는 것은 긍정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데 이상한이라는 말이 꾸밈이 되면서 정상 가족이 이미

정상의 범주가 아님이 느껴지는 제목이라는 생각이 든다.

과연 정상 가족이란 무얼까 ? 라는 물음을 책을 읽기도 전에 생각하게끔 해주는 책.


책의 서두는 아이들에 대한 학대와 체벌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된다.

그리고 부모의 책임과 의무, 아이들의 개별성, 가족이란 울타리. 세계의 가족의 형태와 공동체의 책임과 역할 등의 이야기를 풀어나가며 과연 우리에게 가족이란 무엇이며, 가족은 어떠한 형태이며 어떤 책임과 의무를 띄고 있나를 생각해보게 하고

가족을 넘어 국가란 공동체가 어떤 역할을 해야하는지에 대해 길을 제시해주고 있다.

우선 첫번째로 나는 체벌,학대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나도 체벌이라는 것을 경험해온 한 사람으로서 , 가끔은 또 체벌이 필요하다 생각해온 사람으로 이 글을 보고 참 많은 반성을 했다.

나는 아이가 없지만 왜 아이에게 사랑의 매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을까. 어느 정도의 체벌은 필요하다 생각을 했을까. 꽃으로라도 때리지말라는 어떤 분의 말처럼 누구나 사랑이란 이름으로 체벌을 할 자격이 없는데도 말이다


우리가 아이들을 체벌하는 이유는 어떤 식으로라도 아이들이 내 소유이고 아이들을 내 마음대로 하고 싶은 마음때문이라고 한다. 내 소유물로 보고 하나의 인격체나 개별로 보지 않기 때문이라고 한다. 모든 학대나 체벌, 그리고 동반자살에 이르기까지 아이들의 시선에서 보기보다, 혹은 아이들을 개별성을 인정하기보다는 나의 소유물로 생각해서 체벌을 하고 학대를 하고 또 나아가서는 동반자살이라는 이름으로 포장을 해서 아이들을 살해하는 것까지 이 모든 것은 내 소유라는 ,생각에서 행해지는 것이라고 한다.


가족동반자살을 부모가 자식을 살해를 하고 자신은 자살을 하는 아주 끔찍한 일로 여기기보다는 얼마나 힘들었으면 동반자살을 했을까로 조금의 동정을 잊지 않았던 나의 생각에 일침을 가했던 책


아이들은 선택할 수가 없었는데 부모믜 입장에서 자신이 없으면 아이들도 살 수 없다고 판단을 내리고 살해를 연민으로 포장한 많은 사건들.

이 모든 것들이 아이들을 개별성을 인정하지 않은데서 왔다는 말에 참 많이 공감했다

이것은 학대나, 체벌, 동반자살에서만 비롯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늦은시간까지 학원을 돌고 돌고, 중학생이 되면 더 늦게, 고등학생이 되면 더더 늦게. 부모가 원하는대로 공부만 죽어라 하고 있는 아이들의 모습에서도

볼 수 있다고 한다. 자신의 것이라는 생각에 행해지는 , 또 다른 이름의 폭력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드는 대목이었던 . 아이들이 원하지 않는데 자식을 위한다는 마음에서 행해지는 부모들의 행동이 따지고 보면 가족이란 울타리 안에서 생각하고

아이들의 개별성을 인정하지 않은데서 온다.

어른의 책무는 아이들에게 폭력이나 협박, 위협에 기대지 않고도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있음을 가르치는 것이며 정부의 책무는 비폭력적으로 아이를 키우는게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서두의 글들만 인용해서 말이 많이 길어졌는데 ,사실 이 점이 우리가 가장 알아야할 점이라서 그렇다. 우리는 가족이라면 이래햐한다 라는 의무와 책임만 있고 권리가 없는 삶을 많이 살아간다. 믈론 부모들도 서로의 개별성을 존중하는 사회를 경험하지 못해서 아이들에게 똑같이 예전 우리 부모들의 모습을 답습하는 것이고

또 우리나라의 경우 , 모든 책임과 의무를 가족에게 짊어지게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사회가 더 나아가기 위해, 저출산을 해소하고 평등을 보장하고 가족들이 더 잘살아가기 위해서는 서로의 개별성을 존중해주는 사회가 필요하고, 국가는 가족에게 책임을 지우려 하지 말고 공동체가 나서서 그런 짐들을 덜어주려 노력해야한다는 것에 공감한다. 그리고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생활들을 읽으면서 느끼는 것은

우리나라의 개개의 가족들이 잘 살아가기 위해서 공동체의 책임과 역할이 크다 라는 생각을 안할 수가 없었다.

우리는 전통적으로 가족만이 모든 것을 책임져야했던 구조였기 때문에 이렇게 살아왔고 사실 스웨덴이나 노르웨이도 그렇게 살아왔지만 그들도 시간이 지나면서 많은 것을 변화시키고 현재는 개별성을 존중하고 공동체의 책임과 의무를 중요하게 여기는 문화를 만들어왔으니 우리나라도 그렇게 할 수 있다고 생각을 한다.


앞으로 더 나은 사회를 위해 개별의 가치를 존중하고 공동체가 가족의 짐을 덜어주어 가족이 없으면 책임져줄 아무도 없다는 생각을 하며살아가는 이가 없어졌으면 한다. 그리고 기대는 아이들이 아닌 미래엔 성숙한 청소년들 자신이 미래를 결정하고 행동하는 아이들이 많아지길 바라는 마음이다.

촛불집회에서 또 하나 마음을 설레게 했던 장면은 대거 참여했던 청소년들이었다. "우리 아이들을 위해 촛불은 든다"라는 어른들에게 "어른들이 '아이들'을 위한 촛불을 드는 광장에선'아이'가 존중받는 시민으로 설 틈이 없다. 성숙한 '어른'과 미성숙한 '아이'로 구분하지 말고, '우리 모두를 위한 촛불을 들자'라고 화답하는 청소년들을 보면서 아 우리가 다른 어느 곳에서도 하기 어려운 민주주의 학습을 광장에서 하고 있다는 것을 절감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