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크체크 국어.생활국어 중1-1 - 2010
천재교육 편집부 엮음 / 천재교육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아이가 학교에서 천재교육 출판사 교과서로 공부를 합니다. 

엄마는 부지런히 천재교육에서 만든 문제집을 선택했습니다. 

그리고는 공부를 하는데 아이는 교과서랑 맞지 않는다고 아우성입니다. 

이런~~ 천재교육에서도 저자가 3명이 각기 다른 교과서를 만들었습니다. 

잘 보고 선택하세요. 

저는 다시 가서 박선생님이 지은 문제집으로 다시 샀답니다. 

올해 교과서가 많이 바뀌어서 신중한 선택을 하셔야 낭패보지 않습니다. 

이비 분철을 해 놓고 줄을 그어놔서 반품도 되지 않는답니다. 

배우지도 않는 보편적인 내용으로 채워진 문제집을 선택할 것이 아니라 

아이가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서와 저자의 이름이 맞는 참고서와 문제집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출돌파 내신특강 평가문제집 기술 중1 - 2010
수학교육연구실 지음 / 지학사(참고서) / 2010년 2월
평점 :
품절


아이가 학교에서 지학사 교과서를 씁니다. 

시험때 갑자기 많은 양의 공부를 소화시키지 못하는 성격이라 

미리미리 조금씩 날짜를 정해놓고 하고 있습니다. 

벼락치기는 체질에도 맞지 않는 눅진한 성격이라 학교 교과서와 일치하는 지학사 문제집으로 

선택을 했습니다. 

공부 진도가 빠르거나 많은 양을 하지는 않는 과목이기는 하지만  

요점정리와 꼭 나와야 할 문제의 유형과 양으로 만족합니다. 

평가문항집인 만큼 문제의 양이 많았으면 좋겠다는 욕심도 있지만 지우고 한번 더 보겠다는 

욕심으로 살짝만 표시하고 지나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출돌파 내신특강 평가문제집 가정 중1 - 2010
수학교육연구실 지음 / 지학사(참고서) / 2010년 2월
평점 :
품절


가정과 기술문제집은 많지 않습니다. 

아이들이 배우는 교과서를 바탕으로 작가와 일치한다면 선택하세요. 

교과서 내용과 같지 않은 일반적인 자습서나 문제집은 아이들에게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문제집임에도 불구하고 문제의 양은 그다지 많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내용면에서 나올 수 있는 최선의 문제는 수록되어 있다고 봅니다. 

요목조목 정리되어 있는 요점정리는 공부에 도움이 많이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S TV 중학 도덕 1학년 - 2010년 1월 25일 ~ 12월 19일
EBS(한국교육방송공사) 지음 / EBS(한국교육방송공사) / 201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올해 교과서가 많이 바껴서 여간 힘든게 아닙니다. 

학원을 다니지 않는 우리 아이로서는 전략적으로 문제집과 자습서에 대한 선택이 

더 신중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교과서를 받아오자마자 바로 공부에 도움되는 참고서적에 대한 검색에 들어갔습니다. 

만만치 않았습니다. 

일단 아이들이 쓰고 있는 교과서 출판사를 먼저 파악해야 합니다. 

그리고 교과서를 쓴 작가에 따라 시중에 문제집이나 자습서가 나와있습니다. 

무턱대고 아무거나 사다가는 낭패보기 쉽상입니다. 

학교 교과서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선택하고 난 다음에 도움자료로 볼 수 있는 가장 좋은  

문제집이나 자습서는 EBS 교재라고 생각합니다. 

올해 중1에 들어간 1997년생 아이들이 헤쳐 나갈 공부방법을 스스로 찾는게 

내공을 다지는 확실한 지름길이라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개념원리 중학수학 1-상 - 2012년용
이홍섭 지음 / 개념원리수학연구소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제일 처음에 푸는 문제집 중에 하나입니다. 

학원을 다니지 않아도 쉽게 접근하면서 많은 문제가 있지는 않지만 

일단은 잡은 개념으로 다른 많은 문제를 접할 수 있는 기본이 되는 책이라고 봅니다. 

눅진하고 빠르지 못한 우리 아들이 풀어내기에는 접근성이 쉬웠습니다. 

초6학년을 졸업하고 제일 먼저 접한 문제는 아닙니다. 

무턱대고 풀었던 3000제 문제를 했기 때문에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개념원리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어떤 식으로든 한번정도 접한다면 꾸준한 수학실력에 충분한 밑거름은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