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복진 연구 - 일제 강점하 조소예술과 문예운동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총서
윤범모 지음 / 동국대학교출판부 / 2010년 6월
평점 :
품절


입을 굳게 다물고 주먹을 불끈 쥔 10대 후반쯤 되어보이는 소년상...... 단지 한장의 흑백사진으로 존재하는 이 이미지가 주는 인상은 참 복합적이다. 소년은 행복해 보이지도, 그렇다고 비참해 보이지도 않는다. 그러나 그에게는 앞으로 무언가 질머져야할 숙명같은 게 느껴진다. 군살없이 잘 단련되어 보이는 몸 때문인지, 그의 숙명이 안쓰럽지는 않다.  

소년의 왼쪽 편에 큼지막한 글씨로 쓰여있는 '김복진'이라는 이름 석 자. 그리고 그 이름의 무게를 한층 더해주는 연구라는 단어. 책의 표지는 참 투박하고 소박하다. 책장을 넘기기 전에 오래된 옛날사진을 들여다보듯 그렇게 한참을 들여다보았다. 책장을 넘기면 이미 사라져버린 듯 했던 무언가를 불현듯 새롭게 만날 것 같은 기분이다. 조금은 긴장된 마음으로, 자세를 추스리지 않으면 안될 것 같은 기분으로 책을 잡는다. 묵직하다. 

경술국치 100년이 되는 2010년 여름, 나는 김복진을 그렇게 묵직한 책으로 만났다. 마흔이라는 젊은 나이에 요절한 그가 남긴 삶의 여적과 예술작품은 책의 무게로 느끼는 것과는 비교할 수가 없다. 그러나 그는 아주 소수의 사람들에게 파편적으로 기억될 뿐, 역사의 뒤안길에 묻혀있었다.  

저자는 이 책에서 김복진이 카프의 실질적인 주도자였음을 밝힌다. 그의 동생 김팔봉이 한국현대문학사의 서장에서 자주 언급되는데 비해 조소작가이자 문예운동가였던 김복진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졌다. 20대 후반에 사회주의 사상운동가로서 조선공산당원이며, 고려공산청년회를 조직하고 지도하다가 5년여의 옥고를 치루었던 행적이 상대적으로 문예운동가로서 그의 역할을 평가하는데 벽이 되었는지도 모르겠다. 이 책의 부록으로 재판과정의 신문조서가 실려있는데 당시 좌파민족주의 항일투쟁의 생생한 사료로서 가치가 있어 보인다. 

후기의 시작부분에서 그를 역사의 기억 저편에서 되살려 복원해낸 저자 윤범모 선생의 공력을 느낀다. "정관 김복진이라는 이름, 필자의 인생 반쯤은 그 이름에 눌려 기쁨과 슬픔을 함께한 것 같다."   (계속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