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 1 - 연향
김홍정 지음 / 솔출판사 / 201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금강 1부 연향



금강 1부 연향



  우리 역사에 관심은 있지만 적극적으로 찾아 공부하는 스타일은 아닌 소극적 관심자로서의 노력으로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제가 아는 우리 역사는 임금이나 권력자의 횡포에도 참고 견디는 순둥이 민중과 강한 외적에게서 영토를 지키는 소극적이고 평화주의적이라고 생각해 왔습니다. 이 책의 소개에 민중 자신들의 뜻을 이루기 위해 노력한 사람들의 이야기라는 말에 혹해 책을 읽게 되었어요. 국사를 몰라도 너무 모르면서 공부하거나 책을 읽기엔 꺼려지는 초보인 제겐 소설형식이 편하게 느껴집니다.


  책은 두껍고 도톰하며 하드보드 커버입니다. 소설임에도 묵직한 무게감과 검은색 표지가 무겁게 느껴져 살짝 부담스럽게 느껴졌어요. 그런 선입견이 있어서인지 실제로 읽으니 소설임에도 살짝 어렵게 느껴졌습니다. 책의 첫인상이 어렵게 느껴져서일거라 다독였지만 복선과 추억과 다양한 출연자들이 머리속에서 쉬이 정리되질 않았어요. 역시 역사소설은 친하지 않은 편이라 읽기가 좀 어렵게 느껴졌습니다. 

  역사적인 사건의 사실을 기반으로 쓰여진 이 책은 장면과 장면, 현재와 과거를 넘나 들며 다채로운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과거엔 시간흐름순의 역사소설이 대세였지요. 하지만 이 소설은 사건의 복선과 현재를 넘나 드는 전개로 빠른 흐름과 함께 궁금증과 호기심을 자극하고 있습니다. 그 빠른 흐름에 따라가기 버거웠던 제게는 ... 소설을 자주 읽어야겠다는 자각과 함께 상상력의 한계를 여실히 느끼며 반성하게 합니다.

  역사 수업 시간을 너무도 싫어했던 저인지라 판타지같은 역사소설, 드라마를 제외하곤 즐기질 않고 있어요. 신진사대부를 내몰기 위한 수구 세력이 일으킨 기묘사화로, 지금으로 치면 기세등등 올라오는 진보세력을 오랜 세월 집권한 보수세력이 짓누른 사건으로 볼 수 있습니다. 최순실, 박근혜 사태로 지금의 우리나라는 힘없는 진보세력에 동정적이며 같이 해결해보자는 공동체의식이 만연하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촛불 혁명도 그런 흐름을 잘 보여준 거 같습니다. 그래서 책을 읽으면서 더 슬프고 피하고 싶고 다른 과거와 역사로 바뀌길 기도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노무현입니다> 라는 영화로 많이 울었습니다. 나쁜 걸 나쁘다고 말할 수 있었던 용기있는 사람을 우리는 너무도 슬프고 힘없이 보내버릴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 책은 슬픔에서 끝나지 않고 연향이 스승의 유배지에 따라가고 그 후 유지를 받들어 슬픈 현실을 타파해 나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음에 의의를 갖고 있습니다. 무엇이든 정체된 것에선 변화와 발전이 없지요. 세상을 바꾸기 위해 나와 가족을 희생하고 큰 의미를 부여한 뜻을 유지하기 위해 현실과 타협하는 과정을 보며, 나 자신의 비겁함과 함께 변화가 필요할 때라는 자각을 일으키게 했습니다. 총 3권의 책으로 이뤄진 시리즈로 2, 3권이 기대되는 책이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