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는 생각에 속을까 - 자신도 속는 판단, 결정, 행동의 비밀
크리스 페일리 지음, 엄성수 옮김 / 인사이트앤뷰 / 2015년 5월
평점 :
절판


크리스 페일리 - 왜 우리는 생각에 속을까


  세상은 내 마음대로 되지 않는 것들 투성이입니다. 가족, 친구, 직장동료, 애인, 그리고 모르는 타인들까지. 파악도 안 되고 내 마음같지 않은 사람들 사이에 파묻혀 사는 우리는 불안에 시달릴 수 밖에 없습니다. 사회생활을 하며 점점 더 강한 불안감에 시달리던 저도 내가 파악할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는 것들을 하나하나 주변에 쌓아가는 것으로 내 세상을 만들어온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내 생각조차 내 마음대로 컨트롤되지 않는 상황이 주체할 수 없는 화를 불러오곤 합니다. 그래서 뇌 관련, 명상, 감정 컨트롤에 대한 책을 읽어 왔고 이 책도 그런 일환에서 읽게 되었습니다. 


  책은 회색톤의 깔끔하고 그리 크지 않은 크기로 차분하고 깔끔한 느낌입니다. 책은 5부로 이뤄져 있고 각 부의 제목은 뇌와 의식, 마음에 관심이 많을 독자들의 궁금증을 유발하는 주제입니다. 2부의 '의식이 한다고 생각하는 일은 실제로 무의식이 한다.'는 주제는 제가 평생 의문을 갖던 부분으로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얼마전 '멍때리기 대회'가 있었는데요. 반나절 이상을 멍때린 초등학생이 이겨 귀엽다고 생각했었던 그 대회가 2장의 주제를 뒷받침하고 있었습니다. 오히려 아무 생각을 하지 않는 것이 생각하기 위한 최고의 방법이라 합니다. 책은 짧은 글들로 이뤄져 있어 집중해 읽을 수 있었고 큰 주제를 다양한 각도에서 이야기하고 있어 좋았지만, 이런 형식의 글들은 자칫 큰 주제들을 상기시키지 않고 그 소주제에 집중하게 하는 단점도 있습니다. 


  각 글의 소주제들은 평소 우리가 잘못 알고 있던 '생각'의 틀을 바꿔주고 있습니다. 여러 실험을 통한 증명을 간략히 설명해 어렵지 않았습니다. 다양한 실험은 우리 인류가 얼마나 자신들의 생각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고, 파악하기 위해 얼마나 다양한 노력을 해 왔는지 알 수 있어 공감대를 넓힐 수 있었습니다. 뇌와 마음의 언어가 달라 서로 오해도 착각도 할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주제는 간단 명료하고 설명도 그리 장황하지 않아 읽기 좋았습니다. 


  나 자신을 바라볼 수 없기에 타인에게서 내 생각을 파악하고 내 진짜 모습을 찾는다고 합니다. 우리가 드라마, 소설, 영화, 라디오 등 매체에 집중하는 건 바로 의식적이진 않지만 무의식적으로 바라는 내 진짜 모습을 찾기 위한 방법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목처럼 생각에 대한 우리들의 생각이 편견이었으며 제대로 알게 해주는 책이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