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유론 (무삭제 완역본) ㅣ 현대지성 클래식 20
존 스튜어트 밀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18년 6월
평점 :
인문학과 약간 친해진 요즘도 고전이라 알려진 작품들은 어렵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얼마전 존 스튜어트 밀의 천재가 되는 독서법을 알고 부터는 나도 해보면 천재가 될 수 있을까 라는 근거없는 자신감에 읽게 된 책입니다. 어릴 때부터 생각을 정리하고 공부한 것을 머리속으로 정리하거나 주변 물건을 정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던 저는, 인문학을 읽고 천재 저자들을 가까이 느끼면서 조금 생각정리가 나아진 편인데요. 그래서 예전만큼 어렵진 않겠지라는 가벼운 마음으로 읽기 시작했습니다.
책은 작고 가벼워 문고판 처럼 보이며, 글자는 고전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에겐 좀 작게 느껴집니다. 시작부터 작가의 인간적인 부분, 저서를 아내와 함께 집필했다는 것을 알고 시작하니 왠지 친숙하게 느껴져 감정이입해 읽기가 쉬웠습니다. 그의 아내가 작고한 후 나온 이 책의 헌정사에서 사랑과 존경을 읽을 수 있었습니다. 작가는 어릴 때부터 아버지에게서 천재교육을 받고 유명인사들과 토론하며 엘리트 코스를 차곡차곡 밟아 올라왔습니다. 어려운 그리고 실용서가 아닌 책을 읽기에 안성맞춤 서론이였습니다.
본격적으로 자유론을 얘기하자면... 사실 읽기는 어렵지 않았습니다. 어릴 때부터 고전을 어렵게 생각했던 이유는 내용을 이해하고 배워나가는 진도가 나가질 않았기 때문인데요. ^^; 계속 한 구석만 설명하고 또 다른 각도에서 그 구석을 설명하니... 소설만 읽어 빠른 진도에 익숙한 제게는 계속 반복된 잔소리처럼 느껴졌습니다. 요즘 현대 인문학은 그래도 진도가 빠른 편이라 익숙했는데요, 다시 자유론을 읽으니 중고등학교때 읽고 잔소리라 느꼈던 부분이 조금씩은 머리로 들어오기 시작했어요. 구체적이고 결론적으로 책이 뭘 얘기하냐고 물으면 자신있게 말할 수는 없지만 ^^; 잔소리들이 사실은 진지한, 연구하는 자세에서부터 나오는 논거를 설명하는 것이더군요. 과거에는 기획된 복선과 논리를 좋아해 고전을 볼 때마다 의식의 흐름대로 나열됐다고 느껴 싫어했었는데요, 이제는 천재의 의식을 느낄 수 있어 조금은 즐기며 읽을 수 있었습니다. 큰 논리인 자유론을 이야기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는 자잘한 논리들을 하나하나 설명하고 자신의 논조를 더하고 있습니다. 거기에서 끊질긴 집중력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큰 논리를 이야기하기 위해 작은 것들에서부터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큰 그림은 작은 점에서 시작하듯, 작은 점의 디테일도 놓치지 않으려는 의지력과 집중력이 느껴졌습니다.
현대에서도 자유에 대한 이슈가 있을 때마다 논의가 끊이질 않습니다. 자유론은 100여년전 저작임에도 현대에 덧대어도 모자람이 없을 만큼 현대적이며 탄탄한 과거의 예시와 논거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저자의 생각이 현대적이며 현대인들의 생각이 저자에게서 기인했음에, 보이지 않는 끈에 연결된 우리와 자유론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왜 고전인지 깨닫고 고전에 한발 다가설 수 있었던 계기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