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아이처럼 - 아이, 엄마, 가족이 모두 행복한 프랑스식 육아
파멜라 드러커맨 지음, 이주혜 옮김 / 북하이브(타임북스) / 201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프랑스 아이는 어떤 점이 다르길래 이런 책도 나올까? 하는 생각이 처음 들었다. 미국인이 프랑스에 살면서 '프랑스식 육아'에 문화적 충격을 느끼며 세 아이를 키우는 과정을 책으로 쓴 것이다.


  육아는 그 사회, 문화의 강력한 영향을 받는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에서 '프랑스 아이처럼' 키우고 싶다고 할지라도 결코 쉽지 않을 것이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유는 '사회제도'다. 프랑스는 크레쉬라고 불리는 탁아소를 비롯하여 아이를 맡길 수 있는 공공서비스가 굉장히 잘 갖춰져있다. 하드웨어 뿐만이 아니다. 탁아소 선생님은 유아교육에 대한 전문성이 높고, 선망의 직업이다. 탁아소에 소아과 의사와 심리상담가가 방문하여 아이들에게 문제가 없는지 점검한다. 이렇게 제도적 지원이 가능한 것은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되어있기에 가능할 것이다. 


  '음식교육'이 중요하게 다뤄진다는 점도 남다른 문화적 면모다. 프랑스인의 삶에서 식사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유아 교육에서도 식자재나 식문화에 대해 자세하게 가르치고, 식사의 횟수(생후 4개월이 지나면 3끼 식사와 간식 이렇게 하루 4회만 먹는다)에 대해서도 엄격하게 교육한다.   


  미국인인 작가는 미국식 육아와는 너무나도 다른 프랑스식 육아에 대해 양국간 차이를 비교하며 서술하였다. 한국의 육아는 미국식 육아와 상당부분 비슷하게 보였다. (육아에 대한 수많은 정보가 존재하고 각각 다른 주장을 하고 있어 엄마들이 혼란에 빠지는 점, 아이를 잘 교육할 수록 빠른 발달을 보일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 등) 그래서 프랑스식 육아는 신선하게 느껴졌다. 



- 어린 아기조차 뭔가를 배울 수 있고 좌절에 대처할 수 있는 '인간'이라는 걸 신뢰한다는 점


- 아무리 좋은 부모라 해도 자신의 일상을 자녀를 위해 송두리째 바치지 않으며, 그런 이유로 죄책감을 느끼지도 않는다는 점 - '어른의 시간' '부부의 시간'이 지켜져야 함. 여자로서, 개인으로서의 삶 역시 중요.


- 즉각적인 만족을 보류할 줄 아는 법을 배우도록 교육하는 것

 

- 아이를 독립적이고 이성을 가진 인간이라고 생각하는 것 

'일깨우기'를 가르치는 것. 맛을 포함한 여러 가지 감각으로 안내하여, 순간의 즐거움과 풍요로움을 흡수할 수 있게 하는 훈련



 이는 '아이는 어떤 존재인가', '인간을 어떻게 볼 것인가'와 같은 철학의 문제와 연관되어 있었다. 육아는 철학과 가치관의 문제인 것이다. 수많은 육아책이 나와있고 저마다 해결책을 제시하지만 여전히 육아와 교육이 어려운 이유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