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 ㅣ 패러독스 1
피에르 바야르 지음, 김병욱 옮김 / 여름언덕 / 2008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최근에 읽은 책 중에 가장 신선하다. 책을 대하는 나의 혹은 우리의 뿌리깊은 관념이나 관습에 대한 금기를 넘어서게 하고 읽지 않은(읽었지만 망각한 것까지 포함하여) 혹은 읽은 책들과의 관계 속에 있는 현재 나의 좌표를 인지함과 동시에 미래에 저 높은 세계(책)의 고도에서 자신있게 비행할 자신감과 자유로움마저 느끼게 한다.
읽지 않고도 말할 수 혹은 상상하고 창조할 수 있는 방법을 비평적 방법으로 보여 주는데, 이 내용을 내가 읽었기에 느낄 수 있었던 감정과 사고의 획기적 트임의 경험이었기에 슬몃 이러한 저자의 주장이 모순처럼 보일 정도다.(분명 내가 읽었기에 가능한 도약이다.)
독자는 내면의 책(내면 도서관)에 입각하여 화면의 책(집단 도서관)과 접점을 찾고 스스로의 생각과 의견을 상상력과 관계 맺는 방법으로 피력하고 또한 그러한 의견을 타자와 상호 교환을 통해 유령의 책(잠재적 도서관)을 만든다. 그 책들의 텍스트는 유동적인 것이기에 우리 기억의 파편과 환상 안에서 끊임없이 그 가치와 유용함을 변형시키며 또한 재탄생하게 한다.
비독서 혹은 탈독서라는 독서 일련의 총체성에 입각하여 독자는 아예 읽지 않은 것, 대충 훝어본 것, 귀동냥한 것, 읽었지만 아예 망각한 것 등 그 경계의 가장자리 혹은 그 틈 사이를 유영하며 책이라는 대상(목적)이 아닌 매개물(수단)을 통해 자기라는 정체성을 찾고 자기 표현을 열어갈 수 있다.
세상의 책은 거의 무한대이며 또한 내가 읽고 싶은 리스트도 무한대로 늘어가고 있으며 내 보관 장서의 수도 전보다 훨씬 늘어가지만 내가 읽어내고 소화하는 혹은 기억하는 수는 극히 일부다. 심지어 리뷰를 남기는 고통의 억압 기제가 무의식적으로 작동하여 아웃풋보다는 인풋이 늘어나는 때로는 비생산적인 순환의 고리가 연결된다. 그것이 나는 언제나 불만스러우며 부담이 되거나 혹은 욕망의 과잉으로 여러 책을 뒤적거리게 만들기도 한다.
이 책은 우선 그러한 금기, 읽지 않은 책들에 대해 말하는 것을 죄악시하거나 부끄럽게 만드는 기작을 넘어서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전제한다. 또한 오히려 비독서의 형태가 한 권의 책을 읽음으로써 여러 권의 애정 어린 책들을 희생하게 하는 우를 범하는 것을 막게 하고 책들간의 전체적인 관계, 상황 그리고 그 위치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이 되려 진실 혹은 본질에 가까이 다가서는 것임을 역설한다.
거두절미하고 이 책의 핵심은 끝부분(대처요령)에 집약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마지막인 '자기 얘기를 할 것'에 그 정수가 응축되어 있다. 한 권의 책에 심하게 빠지면 자신이라는 존재 자체를 잃게 하고 또한 저자의 생각이 마치 자신의 생각인 양 얘기를 하게 되고 동시에 내가 가진 독창적인 생각까지 앗아가게 하는 역효과를 경험하게 될 때가 많다. 이는 비판적 사고 혹은 사유의 힘과 방향을 잃게 하고 책의 세계에 몰입했다 나오면 그대로 현실을 살아내는 독서하고도 변하지 않은 자신을 묵도하게 되는, 마치 영화관에서 스펙터클한 헐리우드 영화를 보고 나와서 무엇인가 공허한 기분을 느끼는 감정과 다르지 않다. 어느 인터뷰에서 작가 김훈은 "독서 하고서 자신을 혹은 자신의 삶을 변화시키지 않으면 독서는 무의미한 것이다"하는 말과 일면 일맥상통하는 말이다. 여기서 '비판', 혹은 '비평'이 키워드인데 창조는 비판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얘기가 중요하다. 이러한 비판 의식은 결국 비독서에서 오히려 풍요롭고 다채로운 자기 의견을 가질 가능성이 많다는 얘기를 하는데 인용하면 다음과 같은 대목이다.
"자기에 관한 성찰만이 비평 활동을 정당화 하고 비평을 예술의 차원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데도 그런 이익을 망각한 채 책을 지나치게 주의하여 읽는 행위는 읽는 사람을 자기 자신으로부터 멀어지게 할 위험성이 있다는 얘기다"- 228쪽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것이 일종의 창작이라면, '역으로, 창작은 기존의 책들에 지나치게 연연하지 않을 것을 요구한다"-234쪽
"교양 전체는 담론과 그 대상 간의 연관을 끊고 자기 얘기를 하는 능력을 보이는 이들에게 열리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그것은 본질적인 것, 즉 창조의 세계를 그들에게 열어주는 것이다."-236쪽
이러한 대목은 마치 책을 지나치게 정독하여 파고들 필요는 없는 것으로 책을 대충 봐도 좋다는 얘기로 오해하게 할 소지가 있는데 저자가 추가로 얘기한 바 비평은 작품을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대상으로 하다'라는 전치사를 떼어낼 때 이것이 곧 비평을 그 자체에게, 즉 그의 고독에게 되돌려 보내는 것이요, 또한 그 자체의 창조 능력에게 되돌려 보내는 것이기도 하다라고 했듯이 책을 대상화하고 혹은 우상화하여 자칫 자신에 대한 혹은 (삶의) 본질에 대한 비평정신을 잃을 수 있는 위험을 경계하자는 의미로 받아들인다. 책이 대상화 될 때 나라는 주체 의식을 잃고 책에 함몰되어 버릴 때 우리는 우리 고유의 정체성을 읽고 책을 읽는 의미는 퇴색되어 버리고 만다.
또한 책을 수직으로 깊이 파고드는 것도 때론 아주 필요하나 책들과의 수평적 가로지르기를 통해 그들간의 맥락과 관계를 폭넓게 파악할 때 그 하나 하나의 책에 대한 진정한 심연과 그 높이를 가늠할 수 있지 않을까?
나는 이제 읽지 않은 책에 대해 아니 읽었어도 처음부터 읽지 않았었던 책처럼 그것을 자유롭게 사유하고 말할 수 있다.
그러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