쿨투라 CULTURA 2023.3 - Vol.105
작가 편집부 지음 / 작가 / 2023년 3월
평점 :
품절



평소 문예지나 생활 잡지는 즐겨 읽었으나, 문화전문지를 읽는 것은 처음이었다. 지루할 것 같다는 생각으로 펼쳤지만 내용은 전혀 그렇지 않았다. 생소했던 문화를 확실하게 느낄 수 있었고 현재 화두가 되는 문화 소식을 알 수 있어서 의외였다.

3월 호의 테마는 '베를린'이다. 나에게 독일이란 물론 문학과 여러 문화의 중심이 되는 도시이자 맥주와 소시지가 맛있는 그런··· 느낌의 도시였다. 그러나 이번 호에서 다루는 베를린의 모습은 사뭇 달랐다. 매년 2월마다 베를린영화제가 열리며 세계 최고의 오케스트라인 베를린 필하모닉, 세계적인 무용 페스티벌 탄츠올림프와 수많은 박물관을 자랑하는 중심지임을 알게 되었다.

쿨투라 편집부는 올해 2월 베를린으로 가서 답사를 했다고 한다. 그들이 직접 들은 현장의 목소리가 고스란히 담겨 있어 뜨겁고 활기참을 느낄 수 있었다. 영화제, 필하모닉, 탄츠올림프 등 문화를 이어나가고자 하는 힘이 끊이지 않고 이어진다는 게 놀랍고 기쁘기도 했다.

잡지의 시작은 마우리치오 카텔란으로 시작한다. 평소 마우리치오 카텔란을 관심 있게 보기도 한 나로서는 아는 게 나와서 관심이 더 끌리기도 했다. 마우리치오 카텔란이 전시를 통해 하고자 하는 말이 특히 공감되면서도 지금 '현재'에 맞는 목소리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다. 그는 여기서 '우리'는 무엇이며 '우리의 바운더리 안에는 무엇을 포함할 수 있는지 질문을 던진다. 설치미술을 통해 극사실주의 표현으로 보는 이를 불편하게 만든다. 이 불편함은 자신에게 향하는 불편함일 것이다. 무엇이 우리를 우리이길 반대하는지와 같은 고민을 하게 된다. 내겐 그의 작품 중, 특히 《ALL》 이란 작품이 인상적으로 다가왔다. 빨간 카펫 위에 흰 대리석을 바닥에 누이듯 설치한 아홉 개의 조각이 있다. 이 조각은 시체를 천으로 덮어둔 것과 흡사하다. 여기서 우리는 아홉 '구'라고 말할 수 있으나 자신도 모르게 아홉 '개'라고 말하는 자신을 보게 될 것이다. 이것이 마우리치오 카텔란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된다고 생각한다. 우리 바깥으로 제외되는 무엇은 누구인가? 강수미 교수는 히틀러, 노숙자, 좀도둑, 범법자와 공동체를 이룰 수 있겠느냐고 질문을 던진다. 정치적 올바름과 지성, 인권·동물권·식물권 등 높은 사회적 감수성과 윤리의식을 지닌다고 한들, 막상 본인에게 닥쳤을 때는 선뜻 그들을 '우리' 바깥으로 내몰고 밀어내고 싶어 한다는 것에 주목한다. 그렇다면 과연 '우리'는 누구인지를 생각해 봐야 할 시간이지 않을까.

쿨투라를 읽으며 놀랐던 점은 이 두 가지였다. 문학 신인상을 열고 있었다는 것을 몰랐다. 나는 시를 쓰니까 모를 수밖에 없나. 아무튼, 운이 좋게도 쿨투라 신인상 당선작과 심사평을 볼 수 있었다. 이준상 씨의 소설은 강렬하면서도 어딘가 차가웠다. 외국에서 학교를 다니셔서 그런지 몰라도 외국적인 요소가 가미되어 있어 국내 소설을 읽을 때와는 다른 느낌을 받아서 좋기도 하였다.

다음으로는 무용 리뷰다. 무용 리뷰는 살면서 처음 보기에 신기하고 멋졌다. 몸짓을 리뷰한다는 것은 순간적인 아름다움을 영원한 잔상으로 남겨두는 것이라 생각한다. 그 잔상을 오래 더듬으며 어렴풋이 기억을 넘나드는 아름다움을 느끼는 그런 방식의 언어여서 리프레시 되는 느낌도 있었다.

생각보다 문화전문지는 재밌는 것일지도 모른다. 유튜브로 모든 예술을 살펴볼 수 있는 지금, 언어로 구현된 보다 정확한 리뷰를 읽으며 그곳을 상상하고 현장을 느낄 수 있음이 좋은 경험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앞으로도 기회가 된다면 쿨투라의 잡지를 계속해서 읽어보고 싶다. 쿨투라를 통해 알려진 문화를, 더 다양하고 재밌는 문화를 언젠가 주변 사람들과 일상 소식처럼 대화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대한다.

*본 리뷰는 월간 문화전문지 『CULTURA』의 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