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자의 돌, 무한한 힘과 지식. 그것은 마침내 실현된 연금술사의 꿈이었다. 프락시스는 그가 갓 만들어낸 현자의 돌이 "제5원소 물질인지, 아니면 인간과 온 세상이 만들어진 근원인 혼돈인지"에 대한 논의로 끝난다. 이제 뉴턴은 몇십 년간 연금술 연구에 힘을 쏟으며 그토록갈구해온 것, 전능한 신과의 직접적인 연결 고리를 손에 넣었다. 아니그랬다고 생각했다. 그는 물론 어떤 연구에서는 같은 목표를 추구해온 터였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말을 바꿔 표현하자면, 뉴턴은 신이 세상을 창조하면서 어떤 선택을 했는지 알고 싶었다. 그리고 더 깊게는 그다음의 상황, 곧 지금 신이 공간과 시간의 물리적 우주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도 이해하고 싶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열렬하며 실용적인 지성의 그런 어렴풋한 모습은 뉴턴이 죽은 직후, 그러니까 그런 일들이 벌어지고 나서 70년 정도 지난 후에 수집된몇몇 일화에 나오는 것이다. 좀 더 자세한 모습은 뉴턴이 써왔던 공책에서 살펴볼 수 있다. 지금까지 남아 있는 공책 가운데 첫 번째 책은1659년의 것으로 추정된다. 뉴턴은 깨알 같은 글씨로(종이가 귀했다.)자시의 생각과 의문, 아이디어를 기록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가 떠나면 난 아주 슬플 거야. 너를 사랑하는 일은 나를 기쁘게 해.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내가 되는 일을 포기할 수는 없어. 나 자신이 되는 일은 인생 전체를 건 모험이야. 네가 날 지지해주면 좋겠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