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래된 연장통 - 인간 본성의 진짜 얼굴을 만나다
전중환 지음 / 사이언스북스 / 201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진화심리학? 처음 들어 보는 말이었다. 심리학일까, 과학일까?
이 글을 쓴 전중환저자는 우리나라 최초로 진화심리학을 정식으로 전공한 학자라고 한다. 그는 학부에서는 생물학도였다가 개미를 연구하여 행동생태학으로 석사를 받고, 이내 미국으로 건너가 진화심리학을 공부한 진화심리학자다.
이 책은 진화심리학에 대한 기본 이론서가 아닌 우리 주변에서 볼 수있는 유머, 소비, 도덕, 음악, 종교, 문화, 문학등을 진화라는 렌즈를 통해 들여다 봄으로써 인간행동을 다윈의 진화론에 입각해 풀어내고 있는 내용이다.
과연 진화 이론이 인간의 심리와 행동을 얼마만큼 설명해 줄 수 있을까?
이 책은 내가 이제껏 이해하고 알고 있던 몇가지 생각들을 뒤짚는내용을 들려주기도 한다.
인간은 동물보다 본능이 적은 게 아니고 본능이 많은 탓에 만물의 영장이 되었고, 태어날때 인간의 마음은 백지상태가 아니며(우리조상들이 무사히 살아남아 번식하게끔 해 준 행동지침으로 이미 채워진 가이드북이라고 함) 종교는 자연선택이 인간의 마음을 세속적인 생존과 번식상의 문제해결을 위해 어쩔 수 없이 떠 안아야 했던 부대비용이라고 하는 점 등이다.
저자는 인간의 마음은 각각의 적응적 문제들을 잘 해결하게끔 특수화된 수많은 심리적 '공구'가 빼곡히 담긴 오래된 연장통이라고 한다. 외부에서 들어온 정보를 처리하여 생존과 번식에 도움이 되는 심리적 적응을 만들어 내는데 이것이 드라이버, 망치, 니퍼, 렌치, 톱등 갖가지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공구들이 되는 셈이다. 우리의 마음은 수백만 년 전 아프리카의 수렵-채집을 하면서 수많은 문제와 본능에 맞닦드려 잘 풀어나가게끔 연장을 마련하며 진화해 온 것이라는 거다.
남성과 여성의 심리는 서로 다른 의미의 번식 성공도에 따라 진화했고, 병원균에 대한 심리적 방어가 외인 혐오증과 집단주의를 유발시켰으며, 과시적 소비형태는 수공작이 암컷 앞에서 꼬리를 펼쳐 으스대는 행동과 다름없고, 유머와 웃음은 성선택(남녀 짝짓기 관게에 활용)에 의해 진화했다는 주장도 있다.
우리가 왜 2층 카페의 구석 테이블을 선호하고 물에 대해 애착을 보이며, 삶의 모형인 이야기에 빠져드는지, 털이 없는 유인원이 섹시한 이유와 발정기의 암컷이 까다로운 이유등에 대해 이론과 가설들을 내세워 총 스물 한번째 연장까지 설명이 펼쳐진다.
특히 도덕은 본능으로, 도덕적 정서에 의한 도덕적 직관이 이성에 의해 결론에 도달하는 도덕적 추론에 우선한다는 주장이 흥미롭다.
책 내용에는 MC 유재석이나 장동건, 이민호,개그우먼 강유미등 우리가 알고잇는 연예인이나 드라마등을 예로 들어 알기쉽고, 재미있게 풀어가고 있어 전혀 딱딱하지 않고, 즐겁게 읽을 수 있었다.
이 책은 아직 밝혀지지않은 부분도 있고 여러 가설에 의존하는 내용도 많지만 진화론을 기반으로 자연선택에 의해 온갖 현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안목을 갖게 해주었고, 인간의 마음을 오래된 연장통에 비유한 참신함이 돋보이는 책이다.
인류의 조상이 아프리카 사바나 초원에서 생활한 긴 시간에 비한다면 농경사회를 거쳐 지금의 현대 산업사회는 심리적 진화를 일으키기에 턱없이 짧은 시간이다.
그렇기에 아직도 생소하고 돌발적으로 생겨난 문제들에 대해 당황하고, 뜻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인생항로가 그만큼 에측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그러하기에 나는 요즘 가상의 인물들이 살아가면서 부딪히는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하고, 대처하는지 이야기며 드라마등에 더 집중하게 되고, 인간의 본성이나 심리가 더 궁금해 지는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어찌 되었든 인간행동을 진화적 시각으로 접근하여 새롭게 출현할 문제를 유추해 보는 지혜를 얻었음이 큰 수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