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혜옹주 - 조선의 마지막 황녀
권비영 지음 / 다산책방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오래 전 TV를 통해 덕혜옹주에 대한 역사 프로그램을 보았다.

조선의 마지막 황녀였지만 전혀 사람들에게 인식조차 되지 못한 생소한 여인~

하지만 그녀의 삶을 살펴보면 너무  파란만장하고 기구하여 가슴이 아프고 목이 메었다. 평범한  여자의 입장이었어도 슬픈 사연이건만 망국의 황녀로서야 어찌 말로 다할 수 있었을까?  어찌 생명을 주시어 이 모진 풍파를 겪게 했어야 하는지 내가 대신 신께 따져 묻고 싶은 심정이다.

 

이 소설 또한 사실에 가까운 내용을 토대로  구성되었고, 부끄럽게도 일본 번역서 한 권만이 그녀에 대한 모든 것을 알려주는 현실에  저자는 사명감으로 집필을 하였다고 한다.

 

이 책은 덕헤옹주의 비극적인 삶에 대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고종의 막내딸로 사랑을 받는 것도 잠시 고종의 승하와  이후 원치않던 일본 유학생활, 오빠 순종과  어머니 양귀인을 차례대로 잃고 격에도 안 맞는 대마도 번주 아들 다케유키와의 정략결혼등 운명은 그녀를 한시도 가만두지 않았다.

 

무엇하나 그녀 마음대로 , 원하는대로 이루어 지지 않았다. 구국청년단의 덕혜옹주를 고국으로 보내려는 시도는 좌절되기 일쑤이고, 친동생과도 같은 시중드는 나인 복순을 계속 가까이 두려는 것마저 할 수 없었다. 누군들 그러한 환경에서  우울증이나 정신질환을 겪지 않을 이가 있을까?

 

조선의 황녀로서 위엄을 잃지않고 자존감을 지키며 일본인 남편과 생활해야하는 결혼생활은 쉽지않았고, 임신을 했음에도 상반되는 여러 감정의 교차는 그녀를 더욱 힘겹게 했다.

그것은 아버지 고종을 죽음으로 몰아넣고, 힘없는 조선을 좌지우지하는 일본에 대한 원한이 있으나 이율배반적으로 그러한 일본인의 피를 가진 자기아이를 낳아야하는 운명의 한탄스러움이요,  자신과 같이 학교나 집단사회에서 곱지않은 눈으로 굴욕을 겪어내야 할 아이에 대한 측은함과 미안함등이 아니었을까?

 

무엇보다 가장 가슴아픈 대목은  딸 정혜(마사에)에게 조선의 혼을 불어넣고 조선에 데려가고자 안간힘을 쓰며 힘겹게 버텨왔건만 하나밖에 없는 자기의 분신 정혜에게 마저 외면당하자 그녀는 살아야 할 이유를 놓아버리게 된 일이다.

 

[내 속으로 낳은 아이마저 나를 모른다 하오. 나와 살을 섞은 남자도 나를 모른다 하오. 나를 낳은 나라도 나를 모른다 하오. 나는 부유하는 먼지처럼 이 세상 어디에도 마음을 내려놓을 수가 없소. 이토록 삶이 무겁다니. 이토록 고단하다니...(p337)]

 

결국, 정신병원에 갇히고, 이혼을 당하며, 딸 정혜마저 잃게 되는 덕혜옹주지만 김을한기자(덕혜옹주 조선의 정혼자 김장한(박무영)의 형)의 환국노력으로 일본에서의 외롭고, 고단하고, 힘겨운 긴 여정을 마치고 마침내 조선으로 돌아온다.

 

총명하고 재기 발랄했던 한 어린아이가  망국의 황녀라는 운명앞에 얼마나 처절하게 무너져버렸는지, 왕족조차 할수 있는 일이 없다는 무력감과 나라를 잃은 설움이 얼마나 큰 지  뼈저리게 느낄 수 있었다. 오직 자유롭고 싶고, 자신이 살던 고국에서 살고 싶어하는 평범한 작은 소망조차 그녀에게는 허락되지 않는 파란만장한 일생앞에 숙연해지며 가슴 아플 따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