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는 잘해요 죄 3부작
이기호 지음 / 현대문학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기호작가와는 첫 대면이다.

간결한 문체로 술술 읽히는 책이지만  유아적인 단순함과 무지는 우화인지 현실인지 기묘하고 의미가 명료하지 않으면서 정체모를 무력감이 내 몸을 감싸는 느낌이다.

 

'우리가 확고하게 믿고 있는 어떤 것들의 이면이 궁금하다면 끝과 시작, 위와 아래를 뒤집어볼 것'이라는 작가의 말처럼 이 소설 또한 그런 기조에서 쓰였고 , 작가에겐 '죄'의 반대말은 무죄가 아닌 '사과'가 되어버렸다고 한다.

 

엄마, 아빠를 차사고로 잃고, 차만 타면 볼일을 보고마는 시봉은 총무과장 차로 납치돼 들어왔고, 아버지가 정상이 아니라고 복지원시설로 데려온 뒤 그 날 이후 모든 기억을 잃어버리고 정상이 아닌 나로 변한 나, 들어온 경로는 다르지만 그들 둘은 룸메이트이자 복지사들의  폭력 순간을 함께하는 친구이다. 정체 모를 알약에 길들여지고, 알수 없는 죄를 고백하도록 복지사들에게 강요당하며  죄의 고백은  일상적인 폭력으로 이어진다.  주인공들은 복지사에 의해 징벌의 명분을 만들기 위해 죄를 고백하도록 이용당하지만  정말로 그 죄를 짓는 전도된 상황을 만들어 낸다. 이는 "고백한 내용이 하루 종일 머릿속을 맴돌아, 마음이 불편하기 때문"이란다.  주목 할 일이다.

 

복지원을 나온 후 그들은 전문대리사과사업으로 뿔테 안경 남자(시봉의 여동생 시연의 애인)와 함께 일을 한다. 첫번째 손님으로 둘도 없는 친구사이인 과일가게주인과 정육점 가게주인을 택한 그들은 사과를 하도록 하기위해 죄를 추궁한다. 배드민턴 공을 높이 띄운 것도 죄가 될 수 있고, 도시락 반찬 두번 더 집어 먹은 것도 죄가 될 수 있으며, 캔맥주를 더 빨리 마신는 것 또한 그렇고, "죄는요, 사실 아저씨하곤 아무 상관없는 거거든요, 아저씨가 생각하는 거 모두 다 죄가 될 수 있는 거에요."라고 그들은 말하고 있다.

 아주 사소한 것이라도  죄가 될 수 있고, 사실 죄는 당사자와 아무 상관없다는 것이다. 단지 이 세상을 살아가고 있기에 알 수 없고 나랑 상관없는 죄를 사과하고, 죄를 짓지 않아도 자백하여야하며, 그 피드백에 의해 죄를 짓게 된다는 부조리한 세상~ 작가는 이러한 죄의 본질적 의미를 말하고 싶었나 보다.

 

사과의 댓가를 미리 받았다는 이유로, 죽이고 싶도록 밉다라는 김밥집 아줌마의 사과에 대한 잘못된 해석으로 뿔테 안경 남자를 정말 죽도록 도운 '시봉과 나'~ 단지 뿔테 안경 남자의  사과를 지켜주기 위해 죽도록 돕는 그 대목에서는  어리숙하고 무지한 그들의 행동에 아연실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단순하고, 목표 지향적인 그들에겐 일말의 죄책감도 없다. 그저 사과를 하기만 하면 그만인 것이다.

 

서로 간 사과할 일은 없는지 이야기를 나누던 중 ,  혹시 사과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면 내대신 네가(나) 대신 받아도 된다는 시봉의 말을 들은 주인공 '나'지만,  그는 정말 죽을 지도 모르는시봉을 버리고 복지원을 탈출함으로써 스스로 죄를 짓는다. "시봉이가 저 대신 모두 사과했거든요. 제 몫까지 다요"라고 원장선생님께 말한 주인공 나는  분신이기도 한 시봉을 떠나  스스로  아버지의 존재 실마리를 풀고, 죽음으로부터 시연을 구출하여 그녀를 업고 병원을 나선다.

 

합의에 의해 주인공 '나'가 복지원을 탈출하게 되지만 , 나는 시봉에 대해  사과를 어찌할까?  아버지에 대한 정체, 기억을 잃어버린 그 시점으로 되돌아 가 풀어야 할 매듭이 있기도 했지만  죽은 시봉에 대한 자책감(사실, 그것을 느끼고 있는지도 의문이지만)을 애써 시봉의 몫으로 담담히 돌리는 주인공이 왠지 짐을 지고 있는 느낌이다. 시봉이에 대해... 동생 시연과의 인연으로 앞으로 풀어나갈  수 있는 숙제일까?

 

하지만,   언제나 고개 숙이고  몸까지  害하며 모르는 사람들에게 알지 못하는 죄를 사과하는 모습을 벗어난 듯하여 안심이 된다. 길들여진 인형의 조정끈을 끊고 나왔다고 생각하기에~

 

유전무죄, 무전유죄라는 말이 있다. 법정의 잣대가 언제나 정의편이 아니었음을, 상식적인 선에서 이해 안되는 경우를 종 종 보았음을 고백한다. 그러기에  우리는 이 책이 더욱 슬프고 씁쓸하다. 알수 없었던 무기력의 원인이 무엇이었는지도 대충 감이 잡힐 것 같다.

 

사과와 용서, 참된 사과만이 용서에 이를 수 있음을 알아야겠다. 아무리 작은 일이라도 자신의 몫은 자신이 짊어져야 진실이 되고, 진실이 있어야 사과가 완성되기에 우리는 용기를 내어야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