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너는 모른다
정이현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12월
평점 :
우리는 서로 잘 알고있다고 생각하는 가족사이에서조차 대체 알고있는 것이 무엇일까?
아이가 커 갈수록 자기방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고, 집보다는 집 밖에서 보내는 시간이 점 점 길어진다. 언제부터인가 비밀이 생기고, 자기만의 세상을 구축하는 아이와 가족에게 우린 얼마나 소통이 되고있을까? 이 책은 우리에게 가족이란 집합안에 각 자 몸부림치고 있는 한 가족을 통해 소통의 문제를 되 짚어보는 계기를 만들어 주고 있다.
오월의 어느 일요일 남한강유역 Y대교 밑에서 발견된 남자시체 한 구로부터 시작된 추리소설류의 이야기는 얼기설기 엮어진 , 사각거리는 관계속의 김상호 가족을 끌어들이며 펼쳐진다.
2월의 어느 한 일요일, 바이올린 영재 11살의 김상호 막내 딸 유지의 실종은 골프약속에 집을 비우게 되는 아빠 김상호, 누나 은성의 사고와 데이트로 유지를 돌볼 시간에 못 돌아온 혜성, 옛애인을 찾아 대만에 간 엄마 진옥영이 없는 틈에 벌어진 일로써 가족 각자의 이야기가 전개되며 보는 사람에게 자신만이 알고있는 비밀을 드러내며 인간의 여러군상을 보여준다.
같이 모여있되 우리는 옆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지 않고, 무엇이 필요한가 눈치채지 못하며, 같은 울타리에 있다는 조건으로 안심하고 있진 않은지?
나에게 손해되지 않고, 피해가 없으면 알려고 캐지도 않고, 상처를 이해하려조차 하진 않는지?
그의 가족은 쥐어보면 바삭하고 산산히 부서져버릴 것같은 관계를 힘겹게 지탱하는 모습으로 모두가 외롭고, 병들어 있었다. 이것은 방배동 서래마을에 살고있는 김상호재력이나, 사랑을 갈구하며 매달리는 딸 은성, 명문대 의대에 붙어놓고도 무기력하게 살아가는 아들 혜성, 바이올린 영재이지만 친구들에게 따당하는 유지의 모습, 허전함을 채우지 못해 옛애인과의 만남을 끊지 못하는 진옥영의 모습에서 외부에 보여지는 조건으로만 안일무사하지않고, 서로를 구제할 수 없다는 걸 여실히 보여준다.
아무도 모른다, 한사람이 올바른 심성과 안정을 갖기위해 얼마나 많은 사랑과 관심이 필요한지~다만, 충분히 사랑하고 관심갖고 나누기 위해 부단히 서로 노력해야한다는 사실은 더 뚜렷해 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