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일곱 살의 털 사계절 1318 문고 50
김해원 지음 / 사계절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로서 심히 부끄러웠다. 남에게 얕잡혀 보이지 않게 단단한 사람이 되어야한다던 얘기는 누구나 똑같이 입는 철갑옷을 입고, 자신만을 지키기위해 엎드려 있으라는 얘기가 된 듯 공허히 메아리 쳐 간다.

 

살아있는 것은 아름답고, 작은 아이나마 인격체로서 자신의 생각이 있거늘 우리는 커가면서 틀안에 짜 맞춰져야 하고, 의문을 제기하지 말고 입 다물기를 강요당하고, 남과 다르게 행동하는 것이 잘못 된 것인양 대중을 쫒아가도록 길들여져왔다. 그것이 옳은 것인지, 정당한 것인지 생각하는 것도 거부당한 채....

 

주인공 일호가 오정고를 들어가며 등교시간마다 벌이는 두발단속과 매독(매드 독) 체육교사의 아이들에 대한 처벌에 맞서 벌이는 사건을 중심으로 했으나, 태봉이발소가 있는 마포구의 재개발 추진위원회 이야기에서도 보여주듯이 모든 칼자루는 강자와 권위편이며, 세입자나 학생들의 입장은 이해받지 못한 채 힘없는 약자로 묵살되어지는 현실을 보여주고 있어 씁쓸했다.

 

투쟁이나 하고, 파격적인 반발이 있어야만 생각의 여지가 생기는 듯,  젊은 청소년들에게 보여지는 어른들의 모습은  전혀 나아지거나 새롭지 못하다.

다행히 20여년전 집을 나가 자유를 찾아 헤매본 아버지만이 일호를 이해하고 지지해 주었고 ,  이발을 하는 할아버지의 손자가 두발규제를 반대하는 아이러니속에 할아버지 또한 일호편이 되었지만 현실은 쉽지 않았다.

 

 두발 자유화를 위해 싸웠지만 정작 두발 자유화가 된다고 해도 일호는 짧은 머리를 유지한다고 한다. 염색도 원치 않는다고 했다.자유는 이렇듯 누군가에 의해서가 아니라 자신이 선택하는 것이다.

 

조선 최고의 이발사의 조상을 이어 3대째 태봉이발소를 하는 할아버지와 자유를 구했던 아들, 일호의 아버지, 20여년간 자식과 부인을 나몰라라 팽겨쳤던 아버지와 엄마의 관계, 오삼삼 규칙에 맞춰져 잘 깎여진 머리로 '범생이 일호'가 되었던 주인공이 '별사건'이후 학교에 복귀되어 다시 볼 선생님들과의 관계, 모든 것이 풀어야야 할 실타래지만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함께 시간을 맞추고 진심의 시간을 갖는다면 어려울 게 없으리라 생각한다.

 

무리하게 해피 엔딩으로 끝맺음하려 하지 않은 점도 마음에 들었고, 아주 심각하게 갈등구조로 치닫지않아 안도의 숨을 쉴 수 있었으며, 친구 정진의 수다스러움속에  유머는  재미를 더 했다.

 

21세기를 살아갈 아이들에게 나와 같은 순응하는 사람이기보다는 더 나은 세상을 향해 만들고 나아가기를, 진정한 자유와 인권을 찾아가기를 바라는 나에겐 좀 더 담대하고 더 큰 용기가 필요하리라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