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비잠
최제훈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3년 10월
평점 :
작가의 세 번째 작품이다.
<퀴르발 남작의 성>도 발칙하니 재미 있었고, <일곱개의 고양이 눈>은 지하철에서 몇 번이나 못 내릴 뻔 했었다.
눈이 빠지게 기다리던 세 번째 작품이 나왔다.
"흥분하지 마세요. 이제 시작인데."
얼마나 도발적인 문구인가.
나는 이 문구만으로도 숨을 제대로 쉴 수가 없었다.
본격적인 게임의 시작을 알리면서, 제대로 어퍼컷을 날려주겠다는, 저 예의바르고도 옹골찬 다짐.
이야기는 매우 어지럽게 진행되지만.
힌트가 있다. 제목이다. '나비잠' - 이야기의 시작이 꿈이라는 것까지 참고한다면, 자연스럽게 '호접몽'을 떠올리게 된다.
주입식 교육이 낳은 폐해 아닌 폐해라고나 할까.
나비와 꿈과 잠이 연결해서 만들어내는 '내가 나비를 꿈꾸는 것인가, 나비가 나를 꿈꾸는 것인가.'
이야기는 매우 어지럽게 진행되지만.
힌트는 노골적이다. '나'라는 일인칭과 '요섭'이라는 삼인칭이, 길 잃을 걱정 따위, 훅 불어 가볍게 날려 버린다.
이야기는 매우 어지럽게 진행되지만.
힌트는 그러고도 또 있다. 이 작가가 누구인가. <일곱개의 고양이 눈>의 그 작가가 아닌가.
치밀한 이야기를 짜는 데 재주가 있는 사람이라는 말이다.
소용돌이처럼 다른 줄기에서 시작된 한 물의 흐름이 한 꼭지점에서 매우 흥미롭게 만나 뒤엉킨다.
그렇다고 수월하게 읽을 수 있다는 뜻은 아니다.
물론 이 작가는 뛰어난 재능을 갖고 있어서 가독성이 매우 뛰어나다. 이야기는 흡인력 있고 도저히 책을 내려놓지 못하게 한다.
예정된 몰락의 발길을 한발 한발 따라가야 하는 입장으로서는 그 괴로움 또한 떨쳐낼 수 없다고 고백하지 않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최요섭이라는 인물이 갖고 있는 속물성은 그가 당하는 '예정된 몰락'을 인과응보로 생각하도록 만든다.
하지만 또한 이 작가가 누구인가. 그는 뛰어난 재능으로 읽는 사람들의 뒤통수를 후려친다.
과연 인과응보인가.
나는 여기에 대해서 그렇다고 말할 자신이 없다.
내가 보기에 최요섭이 당하는 예정된 몰락은 어딘지 모르게 부조리하다.
그런데 그 부조리함의 쓴맛을 인정하게 되는 순간, 읽는 사람 역시도, 부도덕한 공범으로 몰리게 되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처치 곤란한 씁쓸함. 그래서 과연 인과응보인가.
기억과 꿈과 현실이 어디가 어디서부터 기억이고, 꿈이고, 현실인지를 구분할 수 없게 만드는 이야기의 소용돌이.
꿈에서 깨어난 것 같은 혼란스러운 뒷맛은, 이 작가의 다음 작품을 또 기다리게 만든다.
별 다섯개.
흥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