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 - 배움이 있는 수업만들기
사토 마나부 지음, 손우정 옮김 / 에듀케어 / 2006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일제식 교사주도형 수업이 우세한 한국과 일본의 교육현실에서 놓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그리고 수업과정에서 정말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이 책 속에 나와 있다.  

수업은 '주체성'이라는 신화에서 벗어나 '수동적 능동성=대응'을 중심으로 조직되어야 한다. 주체성이란 수동성을 결락한 일방적인 능동성에 의거하고 있는 반면, 사람들의 능동적인 활동의 전제로 사람과 사물에 대한 대응이라는 수동성이 있다. 

'수동적 능동성=대응'을 중심으로 한 교실에서는 먼저 교사가 '수동적 능동성=대응'을 중심으로 수업을 전개해야 한다. 아이들 한명 한명의 '소리없는' 소리를 조심스럽게 듣고 '듣는 일'과 '음미하는 일'로 교사의 의식을 이동시켜서 한 사람 한 사람의 숨결과 그 숨결의 물결이 부드럽게 느껴지는 교실로 만들어야 한다.   

교사의 활동은 '테일러링'과 '오케스트레이팅'을 중심으로 조직되어야 한다. 아이들의 배움은 개인에서 출발하여 개인으로 돌아오도록 교사의 활동도 개인에의 대응으로부터 출발하여 개인에로의 대응으로 돌아와야 한다. 동시에 수업에서 교사는 텍스트와 아이를 이어주거나 아이와 아이를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서로 다른 '이교통'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한 사람 한 사람의 생각이나 이미지를 조화시켜 감으로써 교실의 커뮤니케이션을 두텁고 넉넉하게 전개시켜야 한다.  

수업 중 교사가 단순히 교재의 내용을 전달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어떤 활동과 움직임이 일어나야 하는가를 아주 예리하게 분석한 내용이었다. 하지만 총합학습, 교사연수, 수업연구, 학교개방 등등의 내용에서는 다소 거리감이 느껴지면서 비현실적이라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현재 일선학교의 막중한 업무량, 과다한 수업시수, 끝이 없는 담임업무, 열악한 교육환경 등을 생각하면 이러한 것들은 또다른 교사를 구속하고 방해하는 업무에 지나지 않게 될 것이라는 생각이다. 물론 이 책에서는 교사가 수업활동에 전념하도록 하기 위해 회의를 줄이거나 잡무를 줄이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현실적으로 어느 정도 가능할 것인지는 의문이다.  

또다른 문제점은, 교사의 자율성에 관한 점이다. 이 책의 내용이 일본인에 의해 일본을 배경으로 쓰여져서인지는 모르겠지만 다소 집단주의적인 느낌이 든다. 전체교사의 수업연구를 조직하여 일년에 몇차례 씩이나 공개수업을 한다든지 학부모참가, 학교개방 등의 일련의 일들을 계획 진행하는 것이 다소 형식적으로 보인다. 현재의 한국현실을 중심에 놓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렇게 느껴지는지는 모르겠으나, 자기의 수업을 스스로 계획하고 실행할 개별 교사의 자율성보다는 전체적인 계획이나 일정에 따라서 교육활동을 실천해야 한다는 점이 더 강조되고 있지 않나 하는 느낌이 든다.    

책의 앞부분은 정말 중요하고 핵심적인 사항을 잘 다루고 있는데 비해 뒷부분은 실제 학교의 사례 위주로 되어 있어 다소 산만하고 핵심이 없이 같은 내용이 반복되고 있는 느낌이 든다. 앞부분의 내용을 좀더 심화시켜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더많은 지면을 할애하는 것도 좋지 않았을까 하고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