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끗한 매미처럼 향기로운 귤처럼 - 이덕무 선집 돌베개 우리고전 100선 9
이덕무 지음, 강국주 편역 / 돌베개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의 글은  맑고 깨끗하다. 세속에 물들지 않은 오로지 "책"만을 좋아하는 선비의 모습이 그의 글 속에 담겨있다. 그의 글은 향기롭다. 그는 친구를 불러 대화하기를 즐기며 자연과 더불어 자연 속에서 자연과 일체가 된 생활모습을 모여준다.  

오늘날 시선을 끄는 온갖 베스트셀러니 유명작가니 하는 책들과 비교할 수 없는 담백함과 솔직함, 우직함이 그의 글 속에 들어있다. 그의 글 하나하나는 자연과 세상을 여유롭게 관조하는 선시와도 같다. 나는 한 페이지의 글을 단숨에 읽고서는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기가 아쉬워 읽었던 페이지를 몇번이고 다시 읽곤 했다.  

한 가지 궁금한 것은, 이 책은 한시를 우리말로 번역해 놓은 것 같은데, 실제로 한시를 읽을 때도 이 책에 한글로 번역되어 실린 글처럼 그의 문체와 감동이 살아나는지 궁금하다. 아니면, 단지 우리말로 번역된 글이기 때문에 우리말 특유의 느낌과 감정이 살아나 그의 글이 아름답게 느껴지는 것인지. 한시에 대해 문외한인 나로서는 궁금한 점이다.   

"고관대작 이름을 나는 모르네/ 내 아는 건 오로지 책 읽는 일뿐./ 뜨락의 저 나무 내 마음 같아/ 맑은 바람 맞으며 우뚝 섰어라."  

"산림에 묻혀 살면서 운둔할 마음이 있다면 이는 '큰 즐거움'이라 할 것이고, 소란스러운 도시에 살면서도 은둔할 마음이 있다면 이는 '작은 즐거움'이라 할 것이다."

"친구가 없다고 한탄할 까닭이 어디 있을까. 책과 함께 노닐면 되는 것을. 혹여 책이 없다면 저 구름이나 노을을 벗으로 삼고, 혹여 구름이나 노을이 없다면 하늘을 나는 기러기에 내 마음을 의탁할 것이다. 만약 기러기도 없다면 남쪽 마을의 회화나무를 벗 삼고, 그게 아니라면 원추리 잎에 앉은 귀뚜라미를 관찰하며 즐길 것이다...."

그의 글에서처럼 나도 '소란스러운 도시'에서 '은둔'하는 작은 즐거움을 가지고 '구름이나 노을을' 벗삼아 '책과 함께 노닐'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