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 교실 혁명 핀란드 교육 시리즈 1
후쿠타 세이지 지음, 박재원.윤지은 옮김 / 비아북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교사는 “과목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과목을 배우는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이 교사의 사명”이다. “즉 지식이나 기능의 전달만이 아니라 학습하고 발전하는 인간을 키우는 것 자체가 교육의 목적이고 교사의 일”이다. “담당과목을 잘 가르치기 위해 신경을 썼지만 배우는 학생이 겪고 있는 인간적인 고민과 갈등에는 무관심하지 않았는지? 담당과목만 잘 가르치면 된다는 생각에 학생의 인간적인 성장에는 무심했던 것이 아닌지?”

“학생을 바꾸려고 하지 않는다.” 학생의 반응에 대해 “왜 지겨워했을까? 좀 더 재미있게 공부하려면 어떤 도움이 필요할까? 제대로 도움을 주려면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하고 고민하는 선생님의 모습... 

한국의 수업은 “학생의 자습이 교사의 지도와는 따로 노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조용히 수업을 구경한 다음 혼자 공부하면서 실력을 쌓아간다.... 수업시간의 학습 효과가 거의 완성되는 핀란드와 달리 수업은 시작일 뿐 자습을 통해 공부를 완성해야 하는” 것이 우리나라의 모습이다.

이 책은 핀란드의 학교에서 일어나고 있는 실제 교육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설명하는데는 어느 정도 성공한 듯하다. 핀란드 교실의 모습이 아주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잘 나타나 있다. 하지만, 그런 교육이 가능하게 된 핀란드 사회의 정치, 사회, 문화적인 배경이나 철학적인 배경 등에 대한 고찰이나 분석은 그렇게 많이 보이지 않는다.

옮긴이는 핀란드와 한국의 교육을 비교하면서 핀란드교육에서 우리가 배울 점을 찾고자 한다. 하지만 너무나도 많은 교육계의 쟁점들을 간단하게 몇 마디로 비교하면서 쉽게 해결책을 찾으려 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특히 각 챕터의 마지막에 핀란드와 한국의 교육을 비교하는 부분에서는 진지한 고민없이 너무도 쉽게 결론을 내리고 있는 듯하다. 한국교육 나름대로의 장점도 있을 것이고 한국교육의 특징이 이루어진 사회, 역사적 배경이 있을 것인데 어떤 근거에서 그렇게 핀란드 교육 위주의 일방적인 비교를 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즉 한국교육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진지한 고민이 부족하지 않나 싶다.

옮긴이는 ‘공부의 효율성’을 중시하는 ‘학습전문가’로서 ‘성공론’의 확산을 위해 활동을 하고 있으며 ‘성공적인 학습법’을 전하는 단행본을 집필 중이라고 한다. 이 책의 제목 또한 ‘세계 최고 학력을 낳은’ 핀란드 교육에 관한 내용이다. 입시 위주, 성공과 출세 위주의 한국사회의 분위기에 편승하여 결국은 이 책 또한 입시와 성공과 출세를 위한 다양한 방법 중의 하나로서 출판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고민이나 어려움, 문제점이 이 책의 여러 곳에서 나와 있지만, 그런 것들이 옮긴이의 절실한 고민이나 진지한 문제의식에서 나온 것이라기보다는 단지 제 3자의 입장에서 여러 쟁점들을 나열한 듯한 느낌이다.

각 챕터의 마지막에 한국의 교육실정에 맞게 교육전문가의 해설을 덧붙인다고 되어있는데, 어느 교육전문가의 의견인지에 대한 언급이 없다. 수많은 교육전문가들이 각자 다른 교육에 대한 의견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누구인지도 모르는, 그리고 한 사람인지 아니면 여러 사람인지도 모르는 ‘교육전문가’의 그다지 전문적이지 않은 의견을 출처를 밝히지 않고 덧붙이는 것은 무책임한 행동이라고 할 수 있겠다. 각 챕터마다 누구나 다 아는 한국의 교육문제를 잡다하게 늘어놓기보다는 한국사회와 교육에 대한 옮긴이의 그리고 ‘교육전문가’들의 좀더 진지한 고민과 깊이있는 성찰이 필요하리라 본다.

책의 내용은 전체적으로 핀란드의 교육, 일본의 교육, 한국의 교육이 서로 뒤섞여 다소 어수선하고 혼란스럽다. 책을 읽다보니 옮긴이의 시각인지 저자의 시각인지 종종 헷갈릴 때도 있었다. 5장을 한국적 상황에 맞게 다시 쓸 필요가 있었는지도 궁금하다. 오히려 원작을 그대로 살리면서 옮긴이의 의견을 각 챕터마다 쓸 것이 아니라 전체 책의 제일 마지막 부분에 간단하게 덧붙이는 것이 더 낫지 않았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