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과 바다 꿈결 클래식 6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흑미 그림, 백정국 옮김 / 꿈결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을 시작하기 전 잡담 - 

 노인과 바다.

누구든 들어봤을 법한 책의 제목이다.

노인과 바다를 못 들어봤다고 하면 신기한 눈으로 쳐다봐도 좋다.

그만큼 유명한 책이고 많이 읽혀진 책이다.

전에도 읽은 적이 있었지만 새로운 느낌으로 읽어보았다.


책 설명 - 

 책을 받아들고 보니 이게 뭐지라는 느낌이 들 정도로 얇다.

200페이지 정도의 책인데 그 중 4분의 1은 해설이 차지할 정도로 맘먹고 읽으면

한시간 정도면 읽을만한 양이다.


책의 아름다운 모습 - 

세계 문학에 큰 획을 그은 헤밍웨이 선생님의 소설.

이런 책은 그냥 읽어야 한다.


삽화를 그리신 분의 실력이 상당해서 한참을 바라보았다.

내가 사랑해마지않는 보라카이의 해변 같다.


이 물고기는 어떤 곳에서는 그냥 물고기라고도 하고 어떤 곳에서는 청새치라고 한다.

기회가 되면 영문으로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꿈을 버리지 않는 자에게 주는 글이라는 느낌이 든다.


서평 - 

 노인은 청새치라는 꿈을 어렵사리 거머쥐었다가 상어라는 불행을 만나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게 된다.

노인은 돌아온 후 자신은 패배했다고 말한다.

정말 노인의 말대로 패배한 것일까?

노인은 꿈을 꾸었고 꿈을 잡았으며 또 다시 꿈을 꾼다.


 책에서의 노인은 우리 자신을 비추어주는 거울이 되어 준다.

처음에는 꿈을 꾸며 무엇이든 할 수 있을 것 같았지만

점점 세상에 찌들려 꿈은 비틀려간다.

공부를 하여야 하고 돈을 벌어야 하며 일을 해야만 한다.

노인에게 있어 청새치라는 꿈은 독자에게 꿈을 위해 무엇을 했었는지

얼마나 노력을 해보았는지 뒤돌아보는 계기를 만들어 준다.


서평을 마치며 - 

 누구에게나 꿈은 있었을 것이다.

꿈을 꾸었고 꿈을 향했으며 꿈에 좌절도 하였을 것이다.

아직도 꿈을 꾸고 있다면 당신은 진정으로 행복한 사람이다.


세상 사람들은 흔히 결과가 어찌되었든 꿈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이 중요한 것이라고 말하고는 한다.

참.. 허울 좋은 말이 아닌가..


 보통 무슨 일이든 사람들은 결과보다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정작 어떤 결과가 닥치면 그 일의 과정 따위는 생각하지 않는다.

잘못을 했다면 잘못이고 잘했다면 잘한 것일뿐...

이런 세상의 판단에 질려 스토리텔링 같은 것이 유행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이 글을 읽는 사람들에게 묻고 싶다.

당신은 어떠한 결과를 바라보았을 때 결과를 볼 것인가? 아니면 과정을 볼 것인가?

최소한 당신이 한 일에 대해서는 결과보다는 과정을 바라보았으면 좋겠다.

그래야 또 꿈을 꿀 수 있을테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