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박도봉의 현장 인문학
김종록.박도봉 지음 / 김영사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을 시작하기 전 잡담 - 

 항상 나는 CEO들이 책을 냈다고 하면 무조건 색안경을 끼고 보았던 것 같다.

외국의 CEO가 책을 냈다면 읽고 싶지만 한국의 CEO라고 하면 거부감부터 든다.

흔하게 이야기하는 금수저, 흙수저 등을 생각해보면 CEO라는 것은 스스로 된 것이 아니라

부모 혹은 환경이 만들어 준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도 든다.

조금은 거부감을 가진 채로 색안경을 끼고 책을 읽어보았다.


책 설명 - 

 책은 270페이지 정도로 일반적인 소설책보다 조금 얇아 들고 다니기 편할 정도의 책이다.

그리고 활자의 크기는 살짝 작은 편이라 꽤 내용이 많다.

문화국가연구소장 김종록님과 CEO박도봉님의 질문과 답변의 형식으로 되어 있고

구성이 꽤나 잘되어 있어 술술 읽히는 책이다.


책의 아름다운 모습 - 

흐음.. 한국의 CEO가 자랑할려고 낸 책이 아닌가 싶은 생각으로 표지를 보다가 문득 하나의 글귀가 눈에 띈다.

무일푼 기름밥 열처리공...


꿈을 꾼다라는 것은 정말 소중한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질문이 참 노골적이다라는 느낌이 들었다.

그만큼 회장님이라는 분의 진심을 볼 수 있는 대답을 이끌어냈지 않나하는 생각이 든다.


새우가 고래를 삼킨다...

삼국지에서 제갈공명이 할듯한 명대사 아닌가. +_+ㅋ


서평 - 

 개인적인 생각으로 CEO박도봉님이 쓴 이 책을 내가 7년 정도 전에만 보았더라면 어떠했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사업에 관한 생각, 세계에 대한 넓은 시각 등에 대해 조금이라도 알 수 있지 않았을까라는 아쉬움만 남는다.

문화국가연구소장 김종록님의 질문에 답변하는 CEO박도봉님은 현재의 내 이상향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무것도 없이 시작하여 점차 높아져간 그리고 쉴새없이 자신의 가치를 높여가는 방향성..


 책을 읽으며 가슴속 뜨거운 꿈이 조금 더 타오르는 것을 느꼈다.

항상 나는 나 자신에게 묻곤 한다.

넌 지금 제일 좋은 선택을 하였는가?

너의 오늘은 이것이 최선이었는가?

남들보다 네가 더 나은 행동을 하였는가?

끊임없이 묻고 남들보다 조금이라도 더 나은 선택을 하고 더 넓게 바라보려고 한다.


 책에서 CEO박도봉님이 글로써 전하고 싶은 말은 이런게 아닐까 싶다.

당신은 현재 당신의 자리에 만족하여 아무것도 하고 있지 않은 것인가?

현재 노력한다고 입으로만 중얼거리며 시간을 허비하는 것인가?

남들보다 열심히 한다고 생각하며 스스로를 낭비하는 것은 아닌가?


 개인적으로 CEO박도봉님의 사회에 대한 시각은 나와 똑같다는 생각이 든다.

자신에게 처한 현실을 비판하며 자신에게 한계가 주어졌다고 생각하며 그 환경에 대해 하루하루

겨우 허덕이며 사는 것은 아닌가?

나는 그런 사람들에게 한마디 하고 싶다.

매일매일 당신이 좀 더 나은 내일을 위해 오늘 뭘 노력했는지 돌아보라고.

당신의 환경이 그렇다면.. 사회가 그렇다면.. 

사회를 바꾸던지 혹은 바꿀 생각이 없다면 그 사회에서 이길 수 있는 방법을 간절히 생각해 본 적이 있느냐고..

남들보다 좀 더 나아지려고 무엇을 하였냐고..


서평을 마치며 - 

 나같은 평범한 사람들은 사업하고 싶다고 자신의 모든 것을 끌어모아도 1억도 되지 않는다.

그렇지 않은가?

평범한 회사원은 월급 300을 받으면 많이 받는 것인데 그 돈에서 이것저것 떼이고

악착같이 모아도 1년에 삼천을 모을까 말까이다..

그래서 4년 정도를 기를 쓰고 모아야 1억을 모을수 있을까?

금수저는 용돈으로도 1억을 받지 않을까하는 생각도 해보고 내가 금수저라면 이 세상에 대해 무엇이라도

크게 해보지 않았을까하는 생각도 해보았다.

하지만 자신이 처한 환경이 거지같다고 그래서 내가 이렇게 되었다고 불평불만을 안고 산다면

평생을 그렇게 살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나와는 다른 사람들을 만나고 그 사람들의 생각, 사상, 아이디어, 행동패턴 등을 자신에게 좋은 쪽으로

사용할 수 있다면 더 나은 내가 되지 않을까?


 예전에 해외쇼핑몰쪽에 대한 강의가 있었을 때 강의가 끝나고 우연히 강의를 들은 몇명과 함께

밥을 먹고 커피를 마시며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었다.

나는 당시에 쇼핑몰을 운영하는 상태였고 나머지는 시작하려는 단계였는데 그 사람들 중 몇몇이 너무 한심하고

답답하여 한시간 가량 떠들어 댄 적이 있었다.

내가 잘나서가 아니라 시작도 하지 않고 문제점부터 제기하는 태도가 너무 마음에 들지 않아서였다.

나에게 어떤 물건을 팔면 될까요라고 묻는 질문부터 월 천만원 정도 매출을 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라는

질문까지 어이없을 정도 수준의 질문을 해대는 통에 울컥하여 말을 쏟아내었다.

요약하면 최소한 당신이 쇼핑몰을 일단 만들어야 물건을 팔 수 있지 않겠느냐고 그리고 사람들이 많이 사는 물건을

리스팅하고 리스크가 없는 상품들이 어떤 것인지 눈여겨 본 적이 있느냐고 해외에는 있는데 우리나라에는 없는

상품들을 찾아본 적이 있느냐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 사람들은 상품을 팔기 위해 스튜디오를 빌리는데 얼마정도까지 알아봤다고

창고는 어디쪽이 싸다라고 말하는데 정말 한심했다.

내 쇼핑몰은 종이박스 두개에 전지 한장을 오려붙여 만들어 스튜디오를 대신하였고 핸드폰 카메라로 촬영하였다.

그리고 창고는 나의 원룸 한쪽 구석에 박스 하나가 다였다.

매출은 최고 순수익 오백만원까지 찍어본 입장에서 그 사람들의 생각은 너무나 잘못 되어 있어 잔소리를 하였었다.


 실제로 나는 21살에 프로그램을 만들어 팔고 다녔었지만 큰 돈이 되지 않았고

시기가 맞지 않아 대형기업들이 비슷한 것들을 팔아버려서 그만둔 적이 있다.

그 당시에 사업이란 개념도 없을 나이였고 경험도 없었기에 쉽게 그만 둘 수 있었는지도 모른다.

30대가 되기 전 또 다른 투자를 하여 사업을 했다가 거의 1억 정도의 빚을 안고 꽤나 고생을 했었다.

그 뒤로는 돈이 안드는 손해가 나지 않을 안 팔리면 내가 사용해도 될 상품만을 대상으로 쇼핑몰을 소소하게 하고 있다.

책을 보고 나서 멍하니 생각해보니 뭔가 좀 더 고민하고 좀 더 넓게 높이 보았더라면 무언가 달라져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