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서문부터 좋네. 본문 읽기가 겁날 정도로.

구글 검색의 맞춤형 서비스는 이미 상당히 진화했다. 당신이 무언가를 검색하려고 하면 "OO 씨라면 이런 것을 알고 싶겠지"라고 예측해 검색을 해준다. 검색 기술은 앞으로점점 발전할 것이다. 당신은 스스로 자유롭게 검색한다고 여기겠지만, 사실 구글이 취사선택한 틀에서 이루어진다. 인터넷을 사용하는 한 타자가 규정한 세계 안에서 생각할 뿐이다. 점점 그런 세계가 되어가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이제인터넷에서 벗어날 수 없다. 그렇다면 그 통제에서 벗어날 방법은 오로지 하나. 구글이 예측할 수 없는 말을 검색하는 것이다. 어떻게 하면 이것이 가능할까? 이 책의 답은 단순하다. ‘장소‘를 바꿔라. 그뿐이다. - P7
검색어는 연상을 통해 나온다. 뇌의 회로는 바뀌지 않는다. 하지만 인풋input이 바뀌면 같은 회로라도 아웃풋output이 바뀐다. 연상의 네트워크를 넓히기 위해서는 이런저런 생각을 하는 것보다 연상하는 환경을 바꾸는 편이 빠르다. 같은 인간이라도 다른 장소에서 구글을 열면 다른 말로 검색을 한다. 그리고 거기에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세계가 열린다. 세계는 검색어 숫자만큼 존재하기 때문이다. - P7
예를 들어 지금 당신이 직장을 옮기고 싶다 치자. 이때친구나 동료는 모두 당신의 지금 위치를 알고 있고, 성격과능력도 알고 있다. 그들은 십중팔구 당신이 예측할 수 있는이직 자리를 소개할 것이다. 이에 비해 ‘파티에서 우연히 알게 된 사람은 당신을 모른다. 모르기 때문에 미지의 직장을소개할 가능성이 있다. 이는 큰 착각으로 귀결될 수도 있지만, 당신이 미처 알지 못하는 적성을 발견할 기회일 수도 있다. 이 약한 유대관계는 사회의 다이나미즘dynamism 활력을 사유하는 데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최첨단 네트워크 이론도 자주 참조하는 것이다. - P13
즉, 알찬 삶을 위해서는 강한 유대관계와 약한 유대관계가 모두 필요하다. 현재의 당신이 깊이를 추구한다면 강한 유대관계가 필요하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당신은 환경에 매몰되고 만다. 당신은 주어진 입력을 단지 출력할 뿐인 기계가 되고 만다. 이를 뛰어넘어 당신의 삶을 유일무이한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약한 유대관계가 반드시 필요하다. - P13
약한 유대관계는 노이즈로 가득하다. 이 노이즈가 바로 기회라는 것이 그라노베터의 가르침이다. 그러나 현실의인터넷은 그런 노이즈를 배제하는 기법을 계속 개발하고 있다. 지금의 인터넷은 ‘파티에서 우연히 옆에 앉게 되어 속으로는 귀찮다고 생각하면서 이야기하는 사이에 누군가의 소개를 받는 상황을 실현하기가 매우 힘들다. 귀찮다고 생각한순간 바로 ‘차단block‘하거나 ‘뮤트mute‘할 수 있기 때문이다. - P14
그렇다면 우리는 어디에서 약한 유대관계를 우연한만남을 찾아야 할까? 바로 현실이다. 신체의 이동이고, 여행이다. 인터넷에는 노이즈가 없다. 따라서 현실에 노이즈를 도입한다. 약한 현실이 있어야 비로소 인터넷의 강함을 활용할수 있다. - P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