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하는 뇌 - '게임 인류'의 뇌과학 이야기
이경민.서울대 인지과학연구소 연구원 지음 / 몽스북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체에서 보여지는 게임은 광고만 보더라도 장엄한 음악과 매혹적인 분위기, 그리고 이야기와 함께 시선을 사로잡아서 "멋있다. 근사하다."등의 느낌을 갖게 만든다.

게임을 하지않는 나의 입장에서도 그런데 게임을 하는 아이들의 시선에서 보면 내가 적을 무찔러야할 것 같고 지금이라도 광고에 나오는 게임을 사전예약해야 할 것 같고 정의로운 기사가 되어 악당들을 무찔러야 될것 같은 사명감이 들게 만들것 같았다.


아이를 키우는 부모의 입장에서는 그런 게임이 달갑지가 않고 그런 게임을 자주하는 아이가 답답해 보이고 자신의 앞가림을 제대로 하지 않는것 같아 아이에게 잔소리를 하게되는데 그러다보니 아이와의 관계가 틀어지게 되는 경우도 종종 생겼다.




이런 게임에 대한 나의 부정적인 관점에 대해 게임의 장점(?), 긍정적인 관점에 대해 이야기하는 책. <게임하는 뇌>를 읽게 되었다.

어쩜 이책을 계기로 게임에 대한 나의 고정관념을 바꾸어서 게임을 하는 아이를 이해하고 싶어서 선택하게 된것도 없지않아 있었다.


게임을 하게 되면서 게임을 하고 있는 사람의 인지 기능, 인지 회복, 공격성, 자기 통제력, 사회성이 어떻게 변화되는지에 대해 각각의 기능별로 주제를 나눠 전개가 되고 있었는데 그중에서도 자기 통제력과

관련된 주제에서 게임을 하고도 서울대에 간 아이들에 대해 다루어지는 부분에서 공감이 많이 되었다


비슷한 또래의 아이를 바라보는 부모의 입장이여서 더 그랬는지도 모르겠다. 자기 통제력에 대한 설명. 예를 들면 자기 통제력은 가장 늦게까지 발달하는 영역이여서 청소년 시기에도 전두엽이 계속 발달되므로 자기 통제력 역시 지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글을 읽으면서 자기 통제력을 키울 수 있는 가능성이 아직까지 남아있다라는 생각이 들어 다행이다 싶었고 자기 통제력을 어떻게 하면 키울 수 있는지. 게임을 하면서도 어떻게 서울대에 갈 수 있었는지에 대한 글을 읽으면서 아이도 함께 읽어 보면 좋을것 같아서 포스트 잇으로 표시도 하고 줄을 그으며 다시 한번 읽어 보게 되었다.


좋은 말이든, 좋은 약이든, 무엇이든 간에 과하면 오히려 더 해롭게 작용하듯이 게임 또한 마찬가지겠구나 싶었고 게임을 함으로 인해 걱정스러웠던 공격성, 사회성 등에 대해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보게 되는 계기도 된것 같다.


이책은 게임을 하는 아이들 뿐만 아니라 부모님도 함께 읽으면서 게임을 제대로 보고 제대로 사용하는 태도를 키우는 시간을 만들어보면 어떨까 싶었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