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로를 모르는 최고의 몸 - 왜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늘 피곤한 걸까?
나카노 히로미치 지음, 최서희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때문인지 일로 인한 스트레스 때문인지.. 혹은 잘못된 자세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자주

어깨가 뻐근하기도하고 무겁기도하고 어떤날은 다리가 절이기도했다가 누워있을때 허리가 아파 올때도 있다.

운동 부족이여서 그런가 싶기도해서 자주는 아니더라도 운동을 챙기며 하기도 하고 잠들기전에 스트레칭을 해보기도하지만 눈에 띠는 효과를 느낄 수가 없었다.

그래서 급한대로 부항을 뜨고 파스를 붙였다가 병원을 찾아가서 침을 맞기도하고 물리치료를 받기도하지만 효과가 오래가지않아 나름의 진단으로 만성적인 질환이 되어버렸나 싶은 생각도 들었다.


여기 '피로를 모르는 최고의 몸'이라는 책의 문구처럼 "평생 활기차게 걷고 통증 없이 살 수 있는 궁극의 비법"을 찾고 싶어 부푼 마음으로 책을 펼쳤다.


이책의 서두에서는 피로하지 않은 몸을 만들기 위해서는 힘든 운동도 그리고 내가 자주하는 스트레칭도 이로운 방법이 될 수 없고 오히려 병을 키울수 있는 요건이 되며 기능 운동성을 놓이는 운동을 해주면 지치지않는 몸을 만들 수 있다고 되어있어 놀랍기도했고 그런 효과만점인 기능 운동성을 배우고 싶었다.


기능 운동성을 들어가기전에 한 발로 서서 균형 잡기와 벽에 등 대고 서기를 통해 간단하게 자기의 몸 상태를 진단하는  페이지가 있어서 해보았는데 다행히 병원에 가서 진단 받아야하는 상태가 아니여서 안심이 되었고 내 몸을 바르게 사용하는 방법들을 읽어보며 자세부터 호흡법까지 따라해보는 시간을 갖였으며 내가 이제까지 몸을 바르게 사용하지 못했구나라는 생각이 들어서 오늘부터라도 책에 소개된 방법으로 몸을 움직여야 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책의 4장에서는 내 몸 사용법과 기능 운동성에 대한 내용이 사진들과 함께 소개되고 있는데 언제부터인가 잘때 바르게 누우면 허리가 아팠는데 책에 소개된 방법처럼 무릎 아래에 쿠션을 넣거나 옆으로 누워서 자면 좋다고 하니 오늘밤에는 해봐야지 싶었다.

생각외로 기능성 운동법이 복잡하지도 않고 어떻게 보면 단순하게 되어있어서 깜짝 놀랐고 이 운동법들을 따라하면 내가 바라던 피로를 모르는 활기찬 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니 주저할 것도 없이 책을 읽는 동안 따라해보게 되었다.

운동을 하고 난 후 운동 효과 자가진단을 할 수 있는 자세가 있어서 마무리하는 마음으로 따라하며 진단을 해보는 시간을 갖으면 더 좋겠다라는 생각도 들었다.


가벼운 몸을 향해 출발합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기증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