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이 일상에서 이렇게 쓸모 있을 줄이야 - 신발 끈을 매다 수학이 생각났다
클라라 그리마 지음, 배유선 옮김 / 하이픈 / 201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수학하면 어렵다라는 선입견이 있다.

그래서인지 수학을 좋아한다라고 하거나 관심을 보이며 문제풀이를 즐겨하는 사람들을 보면

 대단하다라는 느낌이 저절로 들고 어느정도 노력을 해야만 나도 수학을 술술 풀어갈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곤 한다. 어쩜 나만이 수학은 어려운 과목이야라고 생각하지는 않을 것 같다. 

학년이 올라갈 수록 어려워지는 수학으로 인해 수포자라는 말이 생겨났을정도이니 수학과의 거리감이 없을래야 없을수가 없다. 수학이라는 과목이 기초가 중요하고 그 기초가 다져져야 연계되어 문제풀이가 가능한 형태여서 그런지도 모르겠다.


암튼 이런 낯설음의 수학과 친하게 지낼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보고싶어 '수학이 일상에서 이렇게 쓸모 있을 줄이야'라는 책을 접하게 되었다.


이책은 수학과 교수인 클라라 그리마씨가 막내가 던진 숫자. 파이에 대한 물음을 시작으로 이야기를 하던 중 큰애도 함께 수학적인 얘기에 흥미를 갖고 의견을 제시하며 대화에 함께하게 되면서 점점 더 이야기가 즐겁게 전개되자  수학을 담은 이야기와 이야기를 가장한 수학을 세상에 소개하고 싶다라는 생각이 드셔서 블로그를 만들게 되었고 이런 내용들을 엮어 책으로 나오게 되었다. 


수학적인 이야기를 다루고 있어서 혹시나 어렵지않을까라는 생각이 들면서 책의 목차들을 읽어보았는데 의외로 재미있고 호기심을 끌기 충분한 제목들이 가득해서 제목과 수학이 어떻게 어울려서 이야기가 전개될까라는 궁금증이 생기면서 페이지를 펼쳐보게 되었다.

책의 목차들중 몇가지를 예로 들어보면 '드라마 속 진짜 주인공은 따로 있다!',' 예방 접종을 무시하면 어떻게 될까?' '남녀가 함께 살 때 알아야 할 것들' '사람보다 똑똑한 비둘기'  등이 있었는데 목차만 읽어도 호기심이 급 발동되는 기분이였다.


이야기의 전개는 수학적 용어와 계산법등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어렵다, 복잡하다,라는 느낌보단 화장지에 물이 스며들듯 자연스럽게 수학적 용어가 이야기속에 가미가 되어 어색하지않고 자연스럽게 받아 들일 수 있어서 좋았고 같은 이론이 몇가지의 주제와 연결되어 다시 등장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페이스북을 믿으면 안 되는 이유'와 '예방접종이 꼭 필요한 이유'를 설명할 때 등장했던 그래프이론이 '풍선으로 상금 백만 달러를 받는 방법'에도 나와서 조금은 친숙한 느낌마져 들었다. 


수학의 원리가 이렇게 우리의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에 영향을 주고 있다라는 사실을 알게되니 수학에 대한 무게감이 조금은 가벼워진 기분이 들었고 우리 아이들의 수학배움에 있어서도 이렇게 친근한 접근법으로 다가가면 좋지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기증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