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떠보니 50 - 절대 오지 않을 것 같지만
김혜민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대 후반이였던것 같다. 친구들에게 우리도 머지않아 계란 한판이네라며 놀라움과 아쉬움을 담아내던 시간들이 있었는데 이제는 40대라는 나이가 되었고 책 제목처럼 어느순간 나도 눈 떠보니 50이구나라는 생각에 괜스레 두렵기도하고 망막해진다.
요즘은 100세 시대라고 해서 50~60대는 청춘이라고 한다지만 아무대책없이 그 나이를 맞고 싶지
않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책 "눈 떠보니 50"을 통해서 나의 50을 미리 준비하고 싶은 마음이 들어 읽게 되었다.

작가는 라디오 프로그램 진행자로 책속에 등장하는 사람들은 작가분의 프로그램에 출현했던

 분들이 대부분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일하고 계신 분들로써 그분들의 일, 가치관, 삶의 모습과 

의미등에 대해 인터뷰를 하며 50대라는 나이를 살아가고 있는 그분들의 여러가지 색깔의 이야기들을 다섯가지 주제로 나누어 들려주고 있었다.

첫번째 이야기에서는 50대라는 나이에 대해서..

두번째 이야기에서는 나를 찾아가는 50대에 대해서..
세번째 이야기에서는 50대를 보내고 있는 나와 가족간의 관계에 대해서...
네번째 이야기에서는 도전을 꿈꾸는 50대에 대해서...
다섯번째 이야기에서는 주위에 있는 사람들과의 관계속에서 피어나는 50대에 대해서

 다양한 사람들의 사는 이야기들이 담겨 있었다.

 



그중에서 첫번째 이야기에서 치매에 걸린 노모를 10년씩이나 모시며 삼시세끼를 준비하는 정성기씨의 삶에 대한 이야기가 안쓰러우면서도 아련하게 그리고 애달프게 머릿속에 아른거렸다.
처음에 병원에서는 노모가 1년정도 살수 있다고 얘기를 했고 아버지의 임종을 보지 못한 마음의 짐을 어머니를 모시면서 살아야지 하고 시작했는데  하다보니10년이란 세월이 흘렀다고 하셨다. 
 블로그를 통해 어머니에게 차려드린 음식에 대한 레시피와 정성기씨의 심경을 담아내고 있는데 스머프 할배로 더 유명한 분이라고 하셨다.  "죽는 날까지 삶의 의미를 잃지 않으며 하루하루를 보내는 것, 그게 제일 중요하다"라고 말씀 하신 정성씨의 말을 되뇌여 보게 되었던 이야기였다.



그뿐만아니라 이 책속 곳곳에는 이렇듯 나에 마음을 톡~ 하고 건드려주는 배움과 삶의 지식들

 그리고 따스함등이 녹아있었어 밑줄을 그으며 다시한번 천천히 읽어가며 때로는 그분의 저서가 인용이 될때면 "나도 이책을 읽어봐야 겠다"라는 생각에 메모를 해두곤 하였다. 



처음이라는 글자의 낯설음과 두려움처럼 나이를 한살 한살 먹어감에 따라 느끼게 되는 혼란스러움은 어쩔수가 없는것 같다. 하지만 이책을 읽고나니 그런 상상으로만 하게되는 두려움이 조금은 누그러지는 듯 했다.
마음의 기초공사를 단단히 올린 기분이랄까?
나의 50대가 다섯가지의 이야기들 중에 어떤 주제에 속하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이왕이면 하나씩 골고루 어울리게 그렇게 담겨지게 되는 나만의 아기자기한 50대를 그려보게 된다.

 

 

본 포스트는 출판사로부터 책을 기증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