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사랑한 수학 이야기 - 수학자가 보는 일상의 수학 원리 내가 사랑한 과학 이야기 시리즈
야나기야 아키라 지음, 이선주 옮김 / 청어람e(청어람미디어) / 2018년 3월
평점 :
절판


학교다닐때 특히나 어려워하고 그로인해 재미를 갖지 못했던 과목이 수학이 아닌가

 싶다. 많은 공식들을 외워야하고 문제에 맞게 공식을 적용해야하는데 긴가민가하는

마음으로 문제를 풀었고 특히나 도형이 나오는 부분에서는 더 헤메서 당황했던 기억이 난다.  아이들에게 어려운 과목이 뭐냐고 물어보면 수학이라고 대답한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어려워지는 과목중에  하나가 수학인데 더 늦기전에 수학에 대한 재미를 아이들에게 느끼게해주는 시간을 만들어주고 싶어  '내가 사랑한 수학 이야기'를 접하게 되었다.  


저자는 우리들의 삶에 있어서 수학이 어떤 연관성을 갖고있는지 그런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수학의 다양한 모습들을 사람들이 알아주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이책을 집필하게

되셨다고 한다. 내가 미처 알지 못했던 수학의 색다른 모습들을 만나게 될꺼란 생각이 들어 은근 기대가 되었다.

책의 본론으로 들어가기전 '도대체 공리와 정리가 뭐지?' 라는 글부터 만나게된다.
제목을 읽으면서 공리가 뭐지 싶었다. 정리에서 정의. 정의에서 정리를 찾으면 증명. 정리를 증명하기 위한 수단이 공리라는 개념이라는 걸 알게되었다.
이와 더불어 피타고라스의 정리, 방정식, 분수, 소수등의 개념에 대한 이야기들이 나오는데 수학책에서 보던 딱딱한 개념이 아닌 부드러운 문체 덕분인지 고개를 끄덕이며 페이지를 넘길수 있었다.

이런 개념설명이 마무리되고 나서
'우리는 먼 옛날부터 수학의 도움을 받아왔다.' ' 수학으로 알아보는 일상의 요모조모'  '돈에 얽힌 수학' '자연과학과 테크놀로지의 수학'  '그 유명한 정리는 정말 쓸모가 있을까?' 라는 5가지의 주제로 수학과 일상생활에 연관된 이야기들을 만날수 있다.


예를 하나 들어보면 '돈에 얽힌 수학'에서 기댓값의 공식과 도박에 임하는 마음가짐편 살펴보면 내용에 들어가기에 앞서 네모상자안에 기댓값의 공식에대한 개념설명이 이루어지고 돈을 딸 확률이라는 소제목으로 기댓값의 공식을 적용해서 카지노에서 돈을 딸 확률을 계산하는 과정이 나오며 도박에대한 여담도 담겨있어 살짝 밋밋할 수 있는 분위기를 변화시켜 주는것 같았다.  

나는 이책에서 다루어지는 수학과 일상에 대한 연관성의 이야기들이 누구나 편안하게

 읽게되는 그런 가벼우면서도 흥미있는 내용일꺼란 기대를 했었다. 하지만 내가 생각했던것과는 조금은 다른 방향으로 이야기가 전개 되었다.
아는 만큼 보인다라고 했던가...

내가 알고 있던 개념들에 대한 내용에서는 "그렇구나"하며 읽게되었지만 살짝 들었었거나 몰랐던 개념과 관련된 부분에서는 다시 한번 읽고 생각하게되었고 어떤 경우에는

 모호하게 책장을 넘기기도 했다. 어쩜 애매한 내용들에 대해서 그뜻을 완벽하게 이해할려고 공부하듯 들여다봐서 더 그랬던건 아닌가도 싶다.  
수학에 관심이 많았었거나 흥미가 있으신 분들에게 이 책은 수학의 또 다른 매력을 발견하는 시간을 만들어 주겠구나라고 느꼈다.


본 포스트는 출판사로부터 책을 기증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