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라지고 강해지는 이것이 연산이다 A3 (초등 1 과정) - 10이 되는 덧셈과 뺄셈 시매쓰 빨강연산 3
시매쓰수학연구소 엮음 / 시매쓰 / 201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저희 딸아이와 함께 그간 열심히~ 열심히~ 빨강연산 A1과 A2를 모두 끝마치고
드디어 빨강연산 A3 단계에 접어들었어요.
빨강연산 A3 단계에서는 10이 되는 덧셈과 뺄셈에 대해 배우게 되는데,
아이가 두 자리 수 계산이 나오는 A2 단계보다 상대적으로 쉽다고 여기는 듯했어요.
"엄마, 이 책은 좀 쉬워."​ 하네요^^
그럼, 저희 아이와 함께 2주간 학습한 내용 보여드릴게요.
< 1주차 - 10 가르기와 모으기 >
   



10을 가르고 10이 되도록 모으는 활동은 받아올림이 있는 덧셈과 받아내림이 있는 뺄셈의 기초인
10이 되는 더하기, 10에서의 빼기의 바탕이 되는 활동이므로
능숙해질 때까지! 충~분히 연습해주어야 한답니다.
먼저 과일 그림, 열 손가락, 10칸짜리 종이테이프 자르기를 통해
10을 두 수로 가르고, 10이 되도록 두 수를 모아보며 연산의 원리를 배웁니다.(원리연산)
이어 10 가르기 연습, 10 모으기 연습, 가로세로 10 모으기, 가르기와 모으기 연습(숙달연산)을 반복하여
보다 능숙한 연산이 되도록 합니다.​
    


특히 주어진 20개의 숫자 중에서 가로, 세로, 혹은 대각선 방향으로
10이 되는 두 수를 3쌍 찾아보는 '가로세로 10 모으기'는 아이가 꽤 재밌어 하더라고요^^


다음은 아이가 조금은 자신없어 하는 속도연산과 정확연산...
초시계만 들이대면 숨 한 번 깊~이 내쉬며 초조함을 보이곤 하는데,
60초 가르기와 모으기, 스피드 가르기와 모으기(속도연산) 모두
처음보다는 두 번째 했을 때가 조금 ​더 속도가 빨랐고요~

역시 읽은 수를 숫자로 바꾸고(칠→7), 검정색 숫자만(67→6) 집중하여 빠르게 풀어야 하는
집중력 가르기와 모으기(정확연산)도 조금씩 속도가 빨라지는 것 같았어요.



이렇게 1주차 학습을 끝내고 완성된 빨강만화 한 편^^
우리 떡장수 할머니에게 떡 하나 달라던 호랑님...
글쎄 여자의 마음을 몰라도 너~~무 몰랐던 탓(?)에 그만 뻥! 차이고 말았네요! ㅋㅋㅋ​
저희 딸아이가 정말 웃기다며 아주 그냥 깔깔깔~ 넘어갑니다^^
그래서 특별히! 딸아이 버전으로 다시 실~감나게 재연한 빨강만화~~

 

 

< 2주차 - 10이 되는 더하기 >
10이 되는 더하기는 향후 배우게 될 받아올림이 있는 덧셈의 기초로서 중요한 단원인데요,
앞서 배운 10 가르기와 모으기의 연장이라 할 수 있어 쉽게 학습할 수 있었답니다.​

그림 보고 식 만들기, 더해서 10이 되거나 몇 개를 더 그려야 10이 되는지 ​알아보기,
수직선을 보고 덧셈하기를 통해 10이 되는 더하기를 이해합니다.(원리연산)
이어 가로셈 연습, 세로셈 연습, 10이 되는 두 수를 찾아 덧셈식 2개 만들기​,
더해서 10이 되도록 더하는 수 혹은 더해지는 수 고치기를 통해 반복 연습을 합니다.(숙달연산)
특히 가로셈과 세로셈 연습은 10이 되는 덧셈​만 나오는 것이 아니라
두 수를 더해서 8 혹은 9가 되는 덧셈식이 섞여 나오기도 하고,
10이 되게 고치기 역시 고쳐야 하는 수에 집중하다 보면 자칫 실수할 수도 있기 때문에​
좀 더 정확한 연산 학습이 될 수 있겠구나 싶었어요^^

이제 스피~드하게! 정확하게! 아이의 연산 실력을 점검해 볼 시간~~
처음 1분 10초 빈칸 채우기에서는 여전히 속도가 나오지 않더라고요 ㅠㅠ
1분 10초 안에 20문제 중 12개 혹은 13개밖에 못 풀어낸 아이에게
보다 못한 엄마가 특단의 조치(?)를 내렸는데요~
그랬더니 스피드 빈칸 채우기에서는 43초 안에 20문제 모두 풀어주었어요.

집중력 빈칸 채우기 역시 정확연산의 문제 유형은 이미 익숙해 있어서
두 번 모두 42초 안에 풀어주었고요^^

보기에 아이가 제법 빠르게 풀고 있는 것 같지요? ^^
잘 들릴 지 모르겠지만, 아이가 계속 중얼중얼~ 하고 있는 게 보일 거예요.
보다 못한 엄마의 조치는 바로,​ 아이가 금방금방 안 되는 두 수의 짝을 외우게 한 건데요,
다른 건 괜찮은데, 3과 7, 4와 6이 생각보다 너무 오래 걸리더라고요.
그래서 엄마가 얘기한 "3764"를 계속 중얼중얼~ 하면서 풀고 있는 거랍니다^^;
물론 수학을 암기를 시켜야한다는 생각은 없지만,
원리를 이해하지 못해서가 아니라 ​셈의 속도를 조금 빨리 하기 위해서랄까요?
우리가 구구단의 원리는 알지만, 곱셈을 빨리 하기 위해서​ 외우는 것처럼 말이죠.
암튼, 그동안 시간 측정을 조금 부담스러워하던 딸아이가
이제 자신감이 좀 더 생긴 듯해서 좋았답니다^^
앞으로 남은 학습도 이렇게 자신있게, 재밌게 해주었으면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