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우도
백금남 지음 / 무한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십우도>는 백정 5대의 가계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본질과 한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5대째인 '정산우'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서술해 나가지만 그 뿐만 아니라

그의 조상들이 겪은 괄시와 삶에 대한 고통까지도 함께 할 수 있다.

특히 '산우'의 고조부인 '흰고무래', 그의 눈먼 아들 '정풍정'과 며느리인 '곱추 도화'의 이야기는

백정에 대한 사람들의 괄시와 차별을 넘어 인간에 대한 환멸을 느끼게 만들기도 한다.

그렇게 그들은 한을 담아 백정 짓을 대물림 하였다.

 

 

 

산우는 도살하던중 소를 놓쳤다. 그것도 두번씩이나.

도망쳐 버린 소를 찾아 산을 오르면서 <십우도>의 이야기는 시작된다.

산우는 소를 찾아 헤매고, 흔적을 발견하고, 소를 잡는 과정에서

자신의 과거를 회상하고, 조상들의 삶을 기억한다.

그중 백미는 첫번째 소를 놓쳤을때 만난 '포수 서문'과의 동행과 문답이다.

그들의 행위는 그들의 삶을 깨달음의 길로 이르게 한다.

'산우'는 '서문'을 만났을때 깨달음의 시작을 보였고 서문을 회상함으로써

깨달음의 완성과 해탈의 경지에 이르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비록 소를 찾아 가는 과정이였지만 결국 그를 깨달음의 길로 안내한 것은

마음속이 일어나는 그 무엇이었다.

 

그건 정형과 함께 어울려 한마리의 소를 잡을 때의 꿈입니다.

나는 꿈에서 깨어 일어나면 분명 타자는 본질로 들어가는 문임에

틀림없다는 생각을 곧잘 하곤 합니다.

이 길로 가자고 하면 가자고 하는 주체적인 자기와 그것을 거역하는

반 주체적인 자기와의 화합물이 인간이라면 반 주체적인 자기를 너라 하고

주체적인 자기를 나라 할때 자기 동일성을 회복하기 위해 둘의 만남은 당연하다는 말이지요.

 

'산우'의 현실과 기억의 내용들을 넘다드는 전개로 독자들에게

'산우'와 그의 조상들의 깊은 한을 느끼게 해주고, '산우'의 행동에 정당성을 부여 한다.

상당히 어려운 주제이고,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많았다.

하지만 이런 모든 것들이 해탈과 깨달음을 그리 쉽지 않음이라는 것을 다시금 알게 해준다.

<십우도> 제목에서도 느껴지지만 전체적으로 불교적인 색채가 강한 소설이다.

그래서 종교 소설로도 분류하는것 같다.

<십우도>는 '십우도의 그림'에 맞게 각 장을 나누었고, 소를 인간의 본질에 비유하여

'백정 산우'를 통해 인간의 본질을 찾아가는 과정을 일러준다.

제1 심우(尋牛) : 자가의 본심인 소를 찾는다.

제2 견적(見跡) : 소의 자취를 본다

제3 견우(見牛) : 소를 발견하다

제4 득우(得牛) : 소를 얻는다

제5 목우(牧牛) : 소를 길들인다

제6 기우귀가(騎牛歸家) : 소를 타고 깨달음의 세계인 집으로 돌아온다.

제7 망우존인(忘牛存人) : 소를 잊고 안심한다.

제8 인우구망(人牛俱忘) : 사람도 소도 공이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제9 반본환원(返本還源) : 있는 그대로의 전체 세계를 깨닫는다.

제10 입전수수(立廛垂手) : 중생 제도를 위해 길거리로 나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