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소원은 전쟁
장강명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강명 작가다! <표백><한국이 싫어서><그믐...> <댓글부대>까지 활발하게 책을 내고 있는 작가. 

예판 때부터 두근두근 기다렸고 예쁜 양장 노트와 함께 도오착. 빠밤!

 

이 소설은 첫 문장부터 김정은 이후의 사회를 그린다.

"술과 이념은 처음에는 사람을 취하게 하지만 오래가지는 못한다."

북한 김씨 왕조는 붕괴되었고,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던 독일에게서 교훈을 얻은 남한은 분계선을 더욱 철저히 감시하고, 북에서 넘어오는 난민들을 다시 돌려보낸다. 왜? 그 수많은 난민을 받다가는 망할 게 뻔하니까.

통일이 되면 우리는 대박이고,

통일이 되면 우리는 자유로이 삼천리 금수강산, 백두산을 오가고,

통일이 되면 한민족 다같이 화합하고 세계 초강대국으로 거듭날 거라던

허울 좋은 구호를, 근거 없는 희망을, 헛된 기대를 와장창 무너뜨리고

장강명 작가는 거기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목표를 잃은 북한 특작부대원들은 세계 최대 필로폰 생산을 담당하는 기업들을 차지한 마약조직으로 둔갑하고,북한의 보통 사람들은 시장경제에 애써 적응하며, 다국적군으로 구성된 평화유지군은 치안 유지를 위해 북한으로 파견된다.

그리고 그 아수라장에 등장한 주인공 장리철.

김씨 왕조 말기부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감당할 수 없는 비바람이 쉬지않고 몰아치는 혼란의 바다 같은 곳이 되었다. 리철은 자신이 낡은 뗏목 하나에 의지해 그 바다 위에 떠 있다는 느낌을 자주 받았다. 어떤 때에는 밧줄을 동여매고 뗏목이 나가는 방향을 조정하기도 했지만, 어떤 때에는 그저 매사를 되는 대로 놔두기도 했다. (중략)

그는 미친 나라에서 태어났다. 미친 나라에서 살아남으려면 항상 주변의 모든 사람을 의심하고, 언제라도 주변의 모든 사람을 배신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했다. (077-079)

주인을 잃은 군견 같은 사내 장리철이 등장하면서부터, 소설은 본격 액션으로 흘러간다. 이전 소설들보다 더욱 파이팅이 넘치면서 흥미진진하다. 또 장강명 작가가 보는 특유의 사회 꼬집기 기술도 더욱 향상되었다. ㅋㅋㅋ

두꺼운 분량이 부담스러울 수 있으나 끝까지 보게 한다. 

무엇보다, 장강명 신작이다.

달리 더 뭐가 필요한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