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의 아들은 게으르지 않다 - 사춘기 아들의 마음을 보듬어주는 부모의 심리학 ㅣ 행복한 성장 3
애덤 프라이스 지음, 김소정 옮김 / 갈매나무 / 2019년 2월
평점 :
아들때문에 미춰버릴 것 같은 엄마들 많으시죠?
저도 아들 키우는 엄마로서 가끔 속이 부글부글 끓을 때가 있는데
도저히 저로서는 이해할 수 없는 행동들을 할 때가 종종 있어요~
아직은 나이가 어려서 어느정도 통제가 되지만
아들이 사춘기를 겪는 시기가 되면 엄마들 속이 말이 아니라고
하더라구요~
거의 벽과 대화하는 수준이라고~ㅎㅎ
사춘기 아들의 마음을 조금이나마 이해하고 헤아리는데
도움이 될 것 같은
책이 있어 미리 한번 읽어보았어요~
[갈매나무]
당신의 아들은 게으르지 않다
애덤
프라이스 지음 / 김소정 옮김
<당신의 아들은 게으르지 않다>는 시작도 하기 전에
지레 포기하는 아이들,
그중에서도 10대 남자아이들을 이해하고 보듬어주는 책이에요~
스트레스에 특히 민감하며 속으로는 겁에 질려 있는 10대 남자아이들의 심리
탐구서이며,
변해가는 아들을 바라보며 슬픔과 실망을 느끼는 부모를 위한 심리 치유서라고 할 수
있어요~
저자 애덤 프라이스는 25년 넘게 어린아이와 청소년, 그 가족들을 치료해온 임상심리학자로
ADHD와
학습장애 분야의 권위자이며, 수많은 임상의들을 훈련하고 가르치고 있어요~
〈월스트리트 저널〉,〈패밀리 서클 매거진〉과 같은 유명 학술지에도 칼럼을
썼어요~
역자 김소정은 대학교에서 생물학을 전공했고
번역한
책으로는 《지금 놀러 갑니다, 다른 행성으로》, 《아주, 기묘한 날씨》,
《내가 너에게 절대로 말하지 않는 것들》, 《그 남자는 절대 변하지 않는다》 등이
있어요~
<당신의 아들은 게으르지
않다>는 총 10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1장에서는 부모가 아들에 대해 가지는 편견들을 알아보고
2장과 3장에서는 사춘기를 맞아 달라지는 아들의 몸과 마음을
심리학적, 뇌과학적 측면에서 다루었어요~
4장에서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능력인 ‘집행 기능’에 대해 소개하고,
5장에서는 10대 남자아이들이 사회가 요구하는 ‘남자다움’에 의해 어떤 압박을 받는지,
6장에서는 왜 남자아이가 여자아이에 비해 학교생활을 어려워하는지에 대해 다루고
있어요~
7장과 8장에서는 아들이 느끼는 양가감정과 이에 대처하는 바람직한 부모의 자세,
아들과 대화하는 구체적인 방법 등을 제시하고
9장에서는 자신의 자부심을 높이기 위해 아들에게 과한 요구를 하는 부모에 대해
살펴보며,
마지막 10장에서는 아들의 심리적 경계선을 존중하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과정을
다루었어요~
사춘기에 들어선 10대 아들에게는 모든 것이 이전과는 달라보인다고
해요~
친하게 지내던 친구들이 낯설게 느껴지기도 하고,
부모님의 손길에 갑자기 거부감이 들기도 하고~
별것 아닌 일에 울컥 화를 내고 짜증을 부리기까지~
본인 스스로도 오락가락하는 자신의 모습에 적응이 되지 않을거에요~
그런 10대 아들에게는 남자아이들은 도전을 기꺼이 받아들인다는 생각과
내 아들은 모든 잠재력을 발휘하지 않았다는 생각,
모든 일을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생각을 버려야 해요~
이런 오해들이 과정이 아니라 결과를 강조하기 때문에
실패를 통해서 배울 수 있는 여유, 스스로 시도해보면서
배우는 자유,
성장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10대 남자아이들에게는
필요하답니다~
10대 남자아이들은 손대면 터질 것 같은 시한폭탄 같기도 하죠~
이것은 뇌 기능과 관련이 있는데 청소년의 뇌는 아직 완전히 성숙하지 않은 상태로
감정적 영역을 담당하는
대외변연계는 폭발적으로 발달하지만
충동을 조절하고 행동을 제어하는 전전두엽 피질과 제대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요~
게다가 2차 성징을 겪으며 남성 호르몬이라고 부르는 테스토스테론의 수치가
증가하여
차분하게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일은 거의 불가능할 수 밖에
없다네요~
<당신의 아들은 게으르지
않다>는 처음부터 끝까지
아이들에게 스스로 할 수 있는 공간을 주면서도 적절한 한계를 정해주는
균형을 찾는 문제에 집중하고 있어요~
스스로
할 수 있게 돕고 싶다면 고려해야 할 것들
-아들의
포기를 당신 일로 받아들이면 안 됩니다
-지레
포기하는 일을 아들의 인격 문제로 만들면 안됩니다
-아들에게
아주 똑똑하다는 말은 하지 말아야 합니다
-성격이
나쁘다고 나무라거나 이전에 실패한 일을 거듭해서 언급하면 안됩니다
-잔소리를
하면 안 됩니다
-잔소리보다는
지도를 해주어야 합니다
-단어를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아들이
말하고자 할 때는 아주 신중하게 귀 기울여 주세요
-도움을
구하는 기술을 가르쳐주세요
-아들에게
도움이 필요하다면 도움을 줄 수 있는 남자 어른을 찾아주세요
-학교생활과
관계가 없더라도 아들이 다른 분야에 소질을 보이면 도움을 주어야 합니다

우리 아들이 공부와 진로에는 도통 관심이 없다면 부모는 어떻게 도와줘야
할까요?
우선 아들이 의욕을 갖고 계획을 세우고 행동에 옮기는 일련의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내면화 과정이에요~
부모나 교사가 아들의 행동을 강요하는 외부의 힘으로 존재하는 한
아들은 자율적으로 무언가를 해낼 수 없는 거죠~
무언가를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려면 힘든 노력을 해야 하며
기꺼이 실패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세요~
무언가를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불확실함을 견디는 능력도 뛰어나다고 하네요~
지금까지는 남자들이 아무것도 안하고 있으면
왜이렇게 게으를까~생각했었는데
이렇게 게으르고 의욕이 없어 보이는 아들에게도 속사정이 있었네요~
아들은 게으른 것이 아니라 자신과 힘겹게 싸우는 중이었다는 것을
알게되었어요~
다수의 평범한 10대 남자아이들은 학교생활을 잘하고 싶어 하면서도
실패할까 봐, 무능해 보일까 봐 두려워서 결국 어떠한 시도도 하지 않는
것이었어요~
<당신의 아들은 게으르지 않다> 책을 통해 아들에
대한 오해가 조금은 풀린 것 같아요~
아들은 게으르지 않다는 사실,
단지 살아남으려고 고군분투하고 있을 뿐이라는 깨달음을 얻게 되었어요~
부모로서 자식에게 줄 수 있는 가장 큰 도움은 '기다림'과 ‘받아들임’ 인 것
같아요~
10대 아들이 이제 독립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점점 자신의 마음에 울타리를 세우려고
하면
부모는 아들이 혼자서 제대로 해낼 수 있을까 불안해하기보다는
아들이 보여주는 부모와의 경계를 존중해 줘야 할 것 같아요~
벌써부터 저희 집 아들의 사춘기가 걱정되지만 그래도 이 책을 읽고
남자아이의 생각을 알게 되어 부모로서 마음의 준비를 할 수 있게 된 것 같아
좋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