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은 깊고 아름다운데 - 동화 여주 잔혹사
조이스 박 지음 / 제이포럼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래 동화에서 용은 왜 공주만 잡아가는 걸까?

백설공주는 숲으로 도망쳤고, 빨간모자는 숲을 지나가야 한다.

전래 동화의 여주인공들은 집 떠났다 하면 죄다 숲으로 가는 걸까?

아니, 왜 여주인공들은 모두 곤경에 빠지는 거지?

'동화 여주 잔혹사'라는 부제가 붙은 <숲은 깊고 아름다운데> 라는 책의 책소개글을 보고 너무 흥미로운 접근법이라서 이 책에 다른 어떤 이야기가 적혀있을지 궁금해졌어요. 사실 우리가 알고 있던 전래 동화들이 사실은 무섭고 잔혹한 이야기들이 많다는 것은 들어본 적이 있지만 전래 동화 속에서 나오는 숲의 의미에 대해서는 생각해본 적이 없었던 것 같아요. 나무가 울창한 숲에 들어가 마냥 걷다가는 길을 잃기 딱 좋고, 어디선가 본 것만 같은 풍경들이 펼쳐지는 그런 숲..그런 거대한 숲은 본능과 공포의 세계를 상징하기도 한다는 프롤로그를 보니 책의 내용이 더 궁금해지더라구요.






목차만 봐도 색다른 시각에서 전래 동화의 이야기들을 살펴보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특히 백설공주 이야기에 등장하는 여성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쌍년이 되는 건 해법이 아니다'와 곤경에 처한 아가씨 모티브를 가지고 있는 용과 공주이야기를 말하고 있는 '용은 왜 공주만 잡아갈까?' 과 라푼젤 이야기를 하고 있는 "탑에서 나와 광야를 걷는 여자' 등 흥미로운 시각에서 바라보고 있는 전래 동화의 이야기가 재미있었어요. 그냥 재미있고 감동적인 이야기로만 알고 있던 전래 동화들의 이면에 그런 모습들이 숨어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이 참 색다르고 놀랍더라구요.




색다른 시각에서 보는 전래 동화의 이야기들이 신기하긴 했어요. 전래 동화를 읽으면서 색다른 해석을 하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아보였어요. 이 책은 전래 동화를 여성주의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하고 있어서 여성이 진짜 자신을 찾고 더 성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지 모르는 내용들이었던 것 같아요.




다만 읽으면서 좀 어렵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고 어찌보면 너무 한쪽으로만 치우친 과한 생각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어요. 특히 여성의 성적인 면과 관련된 이야기들은 특히 여성을 성애의 대상인 동시에 트로피로서 대상화하는 남성의 시선을 말하고 있어서 이런 전래 동화를 아이들에게 읽혀도 되나 싶은 생각이 들게 만들기도 해서 생각이 많아졌어요. 그래도 새로운 시각을 알아볼 수 있었던 것으로 한번쯤 읽어볼만 했던 책이었던 것 같아요. 이제 새로운 시각을 가지고 책에 등장하는 전래 동화들을 다시 한번 읽어봐야겠어요.





<출판사로부터 협찬받은 책으로 쓴 주관적인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