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감수성 쫌 아는 10대 - 작은 존재도 소중하게, 생명을 존중하는 마음 사회 쫌 아는 십대 19
김성호 지음, 서와 그림 / 풀빛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솔직히 처음 이 책을 알게 되었을 때는 별로 관심이 없었던 책이었어요. 생명감수성이라는 거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그래도 생명에 대해 소중하게 여기고 그런 마음이 없는 건 아니기에 그런 당연할 걸 뭐 책으로 읽나 싶은 생각이 들기도 했었죠. 그런데 아이가 학교에서 MI 다중지능검사를 했는데 자연지능이 좀 낮게 나왔더라구요. 동물이나 식물, 자연에 대한 관심이 별로 없다는 검사결과를 보니 생명과 자연에 관한 관심을 키워주기 위해서 함께 읽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도대체 생명감수성이 뭔지, 그리고 그 생명감수성이 왜 필요한지 궁금해지더라구요. 그리고 아이들의 생명감수성을 키워주려면 어떻게 해야하는 건지도 궁금했네요.



나름 감수성이 풍부하다고 생각하고 살았는데 막상 생명감수성이라고 하니 그것을 어떻게 정의해야할지는 막막하더라구요. 책을 읽어보니 생명감수성은 생명을 느끼고 받아들이는 마음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런 생명감수성이 왜 필요한 것일까요?


이 책에서 말하는 생명은 동물과 식물, 그리고 미생물까지 모두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런 생명을 소홀히 하면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를 책에서 설명하고 있어. 생명감수성이라고는 전혀 없는 동물 축제, 로드킬문제, 조류의 유리창 충돌문제, 그리고 버려지는 반려동물 문제 등과 더불의 인간의 생명을 경시하는 학교 폭력과 자살 같은 문제까지 다루고 있는데 이 모든 문제들이 생명감수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인 것 같아요.



그런 생명감수성을 키우기 위해서는 우선 이런 생명문제가 생각보다 심각하구나를 느끼는 것부터 시작해서 생명의 존엄성과 소중함을 가슴에 새기는 것이 필요하다고 해요. 그러려면 동물과 식물, 미생물에 다가서려는 마음, 그들에 대해 알아가려는 마음이 필요한 것 같아요. 그리고 눈맞춤과 오래 지켜보는 것도 필요하다고 하네요.


모든 생명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 세상에 홀로 설 수 있는 생명은 없다는 뜻이기도 해.


우리 곁에는 수많은 생명이 있고, 그 모든 생명을 그 자체로 존중하고 소중하게 생각하는 생명감수성은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고 노력하면 누구나 키울 수 있는 감수성이예요.





책을 읽어본 바 생명감수성은 생명체를 어떤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대하느냐는 것이 중요한 것인데 책의 표지에 있는 문구처럼 작은 존재도 소중하게 생각하고 생명을 존중하는 마음을 가져야 할 거 같아요. 비록 아이가 생명과 자연에 큰 관심이 없었다고는 하지만 그 소중함을 모르는 것은 아니었기에 그 마음을 계속 가지고 있으면서 조금더 생명감수성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고 함께 얘기해보도록 해야겠어요.



<출판사로부터 협찬받은 책으로 쓴 주관적인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