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을 끊어내기로 했다 - 내 발목을 잡는 가족에게서 벗어나 죄책감과 수치심에 맞서는 심리학
셰리 캠벨 지음, 제효영 옮김 / 심심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부터 너무나 강렬한 책.

『가족을 끊어내기로 했다』


책을 읽기 위해서 가지고 다니면 다들 한 번씩 뒤돌아본다. 

와~! 책이 정말 쇼킹하다고.

처음엔 이 책을 들고 있는 것만으로도 두근거렸다. 

내가 대단히 이상한 사람으로 보일까 봐. 

사회에 반하는 부적응자와 같이 보일까 봐.

뭔가 엄청 우울한 사람으로 보일까 봐. 등등


그러나 우리는 어차피 완전한 사람이 아니라는 것에서부터 인정해야 한다.

또, 다양한 관계가 있고 꼭 그러면 안 되는 관계도 없다.

그러나 사회는 가족만큼은  절대 불가침의 영역으로 본다. 

국가의 최소 단위는 가정이기 때문에 가정만큼은 절대적인 영역으로 보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가족 얘기가 나오면 모두 아름답고 모두 이해하고 모든 것은 사랑으로 덮어야만 한다.

그렇다면 사회에 연일 나오는 가정폭력, 존속살해 등등 

무시무시한 사건은 어찌 설명할지.

가족이라 하여 자꾸만 덮어두기만 하면, 그 가정을 이루는 하나의 인간은 온전할 수 있을까.

가족이기 전에 하나의 인간인 그 한 사람에 대한 이야기.  

그 사람에게 먼저 집중하길 바란다.


이 책 『가족을 끊어내기로 했다』는 

'죄책감과 수치심을 주는 가족에게서 벗어나 자신에게 집중하라'

는 말을 책의 표지부터 마지막 맺음말까지 끊임없이 얘기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어려움을 주는 가족을 '해로운 가족'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 해로운 가족에게서 선을 긋고 자신에게 집중하길. 

그 과정에서 있을 수밖에 없는 공허함, 외로움, 괴로움 등의 아픔을 극복하는 방법들. 

선을 그은 이후의 닥칠 일들에 대해 대처법, 

나머지 해롭지 않은 가족들과의 관계 유지법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려주고 있다.


어쩌면 제목에서 느껴지는 '끊어내기'는 가족을 버리라는 말이 아니라, 

자신을 어렵게 만드는 그 모든 것들에 대해 끊어내고 자신을 먼저 단단하게 만들라는 말이다.

어찌할 수 없는 외부의 것들에 대해 안타까워할 시간에,

바꿀 수 있는 내부의 것들, 즉 나 자신부터 바꿔보자는 말이다.


이 책 『가족을 끊어내기로 했다』가

누군가.

아니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의 아픔을 만져주는 책이 되길 바란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