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의 글쓰기 - 전시의 처음부터 끝까지 필요한 글쓰기에 관하여 박물관의 일 1
국립중앙박물관.국립박물관문화재단 기획 / 이케이북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렸을 때 목적에 따른 글쓰기의 종류에 대해 배웠을 것이다.

 

-. 글쓴이의 상상력을 담은 문학 창작 글로 소설이나 시와 같은 종류 하나.

-.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쓴 글로 신문이나 사전 같은 종류 하나.

-. 생각과 주장을 담은 글로 논설이나 광고 같은 종류 하나.

-. 글쓴이의 경험을 바탕으로 느낌이나 생각을 적은 에세이, 감상문 같은 종류 하나.

 

그렇다면 박물관의 글은 어떤 종류의 글일까.

 

유물만큼 많이 보였던 박물관의 글들이

이 책 『박물관이 글쓰기』를 읽고 나니 다르게 보였다.

처음에는 정보 전달을 위한 글이라고만 생각했는데,

 

지금은 어쩌면 원재료는 사실에 가지고 시작했지만

틀은 문학 창작 글이 되고,

내용은 큐레이션의 생각과 주장(?)과 느낌이 담겨있는 글

 

바로 박물관의 글인 듯하다.

 

요새 박물관의 글은 정말 읽을만하다.

알 수 없는 한자어로 그들만의 학술 현장과 같은 느낌은 이젠 찾아볼 수 없다.

친절해진 박물관.

이 책을 보니 더욱 느낄 수 있다.

그들이 얼마나 치열하게 관람객을 생각하고 노력하는지.

 

이 책은 비단 박물관 종사자에게만 필요한 책이 아니다.

 

역사와 관련된 글쓰기를 하는 사람에게도,

역사와 관련된 전시회나 박물관 메타버스를 만드는 사람에게도,

그저 일반적인 전달형 글쓰기를 하는 사람에게도,

정제된 깔끔하고 명확한 글쓰기를 원하는 사람에게도,

 

모두에게 도움을 직접으로 줄 수 있는 책이다.

 

다시 한번 관람객을 위해 고치고, 고치며 글쓰기에 매진한

역사학자이자 예술가이자 공연 기획자이자 언어학자이자 작가인

이 책의 작가님들이자 만능 큐레이터들에게 감사 인사를 드리고 싶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